스마트 농촌을 위한 농어촌벤처 육성 전략은?… 벤처기업협회, ‘제31회 농어촌벤처포럼’ 개최

입력 2019-05-16 16:03  




△16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제31회_농어촌벤처포럼’이 진행됐다. 사진 제공=벤처기업협회

[캠퍼스 잡앤조이=김예나 기자] 벤처기업협회(회장 안건준)가 16일 서울 서초구 aT센터 창조룸에서 ‘제31회 농어촌벤처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스마트 농촌을 위한 농어촌벤처 육성 전략’이라는 주제로, 스마트농어촌 구현사례 발표를 비롯해 지역 활성화 및 농어촌벤처 육성을 위한 ICT 및 4차 산업혁명기술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포럼에는 농어업 분야 중소벤처기업과 유관기관 관계자 등 6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포럼에서 전하진 시티플랜(SiTi Plan) 대표는 국내에서 스마트농촌 구현을 위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해외사례와 함께 소개했다. 이향미 농어촌연구원 연구원은 스마트농촌의 단계적 구현을 위해 스마트 빌리지와 사회적 가치 연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금기훈 미디어스코프 대표는 5G 환경과 인공지능을 활용해 남녀노소 구애 받지 않는 스마트 환경의 구성과 ICT 문화콘텐츠 활성화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해 눈길을 끌었다. 

이어 진행된 전문가 패널토의에서는 정인규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센터장이 “스마트농촌 구현을 위한 우리 농업의 지속 발전과 경쟁력 향상을 위해 청년 위주의 벤처 창업농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춘성 농업정책보험금융원 본부장은 “청년벤처농은 ICT를 접목한 기술의 사업화 및 시장개척의 위험과 불확실성을 감내하는 도전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 강마야 충남연구원 연구위원은 정교한 스마트 농촌의 설계를 위한 농어촌 관련 데이터의 공유·개방·확산을 제안했으며, 박노성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본부장은 “농어업 분야에 대기업의 IoT 등 첨단기술을 접목하는 방안에 대해 이야기했다. 조용현 한국정보화진흥원 수석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 기술 혜택의 지역적 범위 확대와 생활편의 개선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서윤정 농어촌벤처포럼 의장은 “ICT 및 4차 산업혁명기술이 도·농간 소득격차를 줄이고 지역 생활환경을 개선하여 누구나 살고 싶은 농촌을 만드는 데 적용돼야 한다”며 “스마트 농촌 구현을 위한 지역과 농어촌벤처의 상생관계가 활성화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yena@hankyung.com

사진 제공=벤처기업협회

< 저작권자(c) 캠퍼스 잡앤조이,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