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성향 의원들 "원인 진단부터 잘못"
민주통합당이 대선 패배 이후 당 정책 노선을 놓고 공방을 계속하고 있다. 당 정책 노선이 ‘좌클릭’한 게 대선 패배의 한 이유였다며 수정 목소리가 커지면서 당내 논란이 일고 있는 것이다.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에서 계파 간 주도권 경쟁이 당 정체성 논쟁으로 비화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박기춘 원내대표는 3일 고위정책회의에서 “우리의 정책 노선도 성역이 될 수 없다. 낡은 이념을 벗어나 진짜 해법을 찾아야 한다”며 “그래야만 50대 중산층의 삶을 챙길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전날에도 “(계파 이기주의가)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대선) 정책으로 이어졌다”며 정책 노선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도 “민주당은 중도개혁으로 ‘우클릭’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박 원내대표와 상임고문단 간 회동에서도 당 노선에 대한 전면 재검토 요구가 나왔다. 임채정 고문은 “당의 진로와 노선에 대해 전면적으로 재점검해야 한다”며 “민주당 불신에 따른 ‘안철수 현상’을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가 큰 숙제”라고 했다. 신기남 고문은 “당 진로 문제는 전당대회에서 진검승부를 통해 결론짓는 게 맞다”며 조기 전대 개최를 제안했다.
이에 대해 시민사회·노동계 출신의 진보성향 의원들은 정면으로 맞섰다. 김기식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해 “원인 진단도 잘못됐을 뿐만 아니라 당의 정체성과 노선을 오히려 훼손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새누리당조차도 보편적 복지와 경제민주화 (같은) 민주당의 노선을 좇아오지 않았느냐”고 반박했다.
민주당은 ‘무상급식’ 이슈 등을 내세워 승리한 2010년 6·2 지방선거 이후 강령 및 정강정책에 진보적 색채를 강화해 왔다. 2010년 10·3 전당대회에서 개정된 강령에서 ‘중산층과 서민의 정당’임을 선언하고 처음으로 ‘보편적 복지국가’를 명시했다.
시민사회·한국노총 세력과 통합신당을 만드는 과정에서 2011년 12월16일 제정된 강령에서는 재벌개혁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 ‘경제민주화’가 제1조로 들어갔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과 차별 철폐 조항도 3조에 새로 포함됐다. 통합진보당과 야권연대를 했던 총선에서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와 제주해군기지 공사 등을 놓고 민주당의 ‘좌클릭’이 더욱 심화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반전에 충격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헉'
▶ 이봉원, 박미선 몰래 사채썼다 빚이 7억 '충격'
▶ 유명 女배우, 임신 7주차 '속도위반' 밝혀져!
▶ '한성주 동영상' 적나라한 진실 드러나 '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