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에 기능성 접목…他브랜드보다 20% 싸게"
![](http://www.hankyung.com/photo/201301/2013010735221_2013010771071.jpg)
![](http://www.hankyung.com/photo/201301/2013010735221_2013010771081.jpg)
SI는 프랑스 아웃도어 브랜드 ‘살로몬 아웃도어’(로고)를 올 하반기부터 국내에 독점 판매키로 아머스포츠와 계약을 맺었다고 7일 발표했다. 살로몬은 1947년에 출범한 프랑스 산악스포츠 전문 브랜드로, 주로 스키 스노보드 등 겨울철 스포츠 의류와 장비로 유명하다.
SI는 살로몬 아웃도어를 국내에 들여와 2020년까지 국내 10대 아웃도어 브랜드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등산화 등 신발은 100% 수입 제품을 판매할 예정이며, 의류와 용품은 라이선스를 통해 자체 생산할 계획이다. 김영 신세계인터내셔날 홍보팀 과장은 “한국인이 선호하는 디자인과 체형에 맞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지난해 7월부터 ‘신규 브랜드 태스크포스팀’을 꾸렸다”며 “해외브랜드 영업과 기획을 담당했던 박승석 부장이 팀장을 맡았고 디자이너 등 관련 분야 경력자를 채용했다”고 말했다.
SI가 뒤늦게 국내 아웃도어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것은 다른 사업영역과 달리 아웃도어는 불황에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서다. 노스페이스, 코오롱스포츠, K2 등은 이미 연 5000억~6000억원대 ‘빅 브랜드’로 성장했고 블랙야크, 레드페이스 등 국산 브랜드와 네파, 라푸마, 아이더 등 후발주자도 꾸준히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며 연 2000억원이 넘는 매출을 올리고 있다.
작년에는 제일모직(빈폴아웃도어), 패션그룹형지(노스케이프), 세정(센터폴) 등이 새로 이 시장에 뛰어들었다. 이 밖에도 몽벨, 잭울프스킨, 아크테릭스, 버그하우스, 마운틴하드웨어, 소렐, 와일드로즈, 디스커버리엑스페디션, 피크퍼포먼스, 몬츄라, 마무트 등이 다양한 제품을 내놓고 있다.
SI로선 국내 아웃도어 시장 규모가 연 5조원(업계 추정치)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충분히 사업성이 있다고 판단했다는 설명이다. 다른 브랜드가 고기능성을 전면에 내세운 것과 달리 살로몬을 ‘패션과 기능성을 접목한 실용적인 아웃도어’로 키운다는 전략이다. 대중적인 브랜드로 알리기 위해 타 아웃도어 브랜드의 80% 수준으로 가격을 책정할 계획이다.
유통망은 대리점과 직영점(길거리 매장), 대형마트 매장을 먼저 연 뒤 프리미엄 라인을 백화점에 입점시킬 계획이다. 최홍성 SI 대표는 “세계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산악스포츠 브랜드 이미지를 알린 살로몬의 상품력과 SI의 브랜드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살로몬을 국내 메이저 스포츠 아웃도어 브랜드로 키우겠다”고 말했다.
SI는 지난해 셀린느와 지방시의 국내 판권 계약을 맺었고, 색조화장품 브랜드 ‘비디비치 코스메틱’을 인수해 화장품 사업에도 뛰어들었다. 김 과장은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종합생활문화기업을 지향하고 있어 라이프스타일과 관련한 사업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반전에 충격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헉'
▶ 이봉원, 박미선 몰래 사채썼다 빚이 7억 '충격'
▶ 허경환, '허닭' 으로 대박난줄 알았더니 갑자기
▶ '한성주 동영상' 적나라한 진실 드러나 '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