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필요한 분야라면 당연히 공무원을 충원해야 마땅하다. 문제는 한번 늘리면 줄어드는 법이 없다는 점이다. 경기도에 따르면 인구 4만5606명인 연천군은 공무원이 585명으로 주민 77명당 1명꼴이다. 반면 수원시는 442명당 1명으로 5배 이상 차이가 난다. 공무원 숫자는 행정서비스의 고객인 주민 수와도 무관하다는 말이다. 역대 정부와 달리 박근혜 정부는 아예 대대적인 공무원 증원을 예고해놓고 있다. 박근혜 당선인은 경찰 2만명 증원에다, 교사 1인당 학생수 OECD 상위수준 개선 등을 공약한 터다. 공무원 100만명 시대가 목전이다.
세금으로 먹고사는 이른바 조세소득국민이 늘어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할 수 없다. 공무원이 늘면 인건비 복리후생비 공무원연금 등 경직성 경비가 덩달아 불어난다. 이는 고스란히 세금 부담인 동시에 재정지출 구조를 경직시킨다. 나라가 파탄난 그리스는 노동인구 4명당 1명(85만명)이 공무원이었고, GDP의 53%가 이들의 월급으로 나갔다. 공무원을 늘리면 고용이 개선된다는 바보들의 셈법이 망쳐놓은 결과다. 그리스에선 공무원 인력통계가 100년간 없었듯이 우리나라는 정부의 이전소득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변변한 통계가 없다.
일각에선 우리나라의 인구 대비 공무원 비율이 2.9%로 프랑스(9.8%)는 물론 일본(3.5%)보다도 낮아 공무원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공무원 한 명이 늘면 민간 일자리는 두 개가 사라지는 게 현실세계의 법칙이다. 정부도 일자리를 만들 수는 있다. 하지만 진정한 일자리는 오로지 기업이 만든다. 조세소득국민을 자꾸 늘리면 소는 누가 키우나.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반전에 충격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헉'
▶ 이봉원, 박미선 몰래 사채썼다 빚이 7억 '충격'
▶ 허경환, '허닭' 으로 대박난줄 알았더니 갑자기
▶ '한성주 동영상' 적나라한 진실 드러나 '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