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업종은 10개 중 9곳 '뻥튀기'
![](http://www.hankyung.com/photo/201301/2013010737361_2013010772741.jpg)
중국 상장기업 중 절반이 분식회계 혐의가 있다는 중국 정부기관의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국은 그동안 미국과 한국 등으로부터 상장기업의 회계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번 조사결과를 계기로 분식회계에 대한 총체적 대응 방안이 나올지 주목된다. 부정부패 척결과 개혁을 내세우고 있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공산당 총서기가 내년 3월 국가 주석에 오르면서 기업들의 회계 개혁안을 내놓을지 관심을 끈다.
○상장사 절반이 분식회계 혐의
중국 상무부 산하 상무부연구원이 1689개 상장사의 지난해 1~3분기 재무보고서를 조사한 결과, 48.7%인 823개 기업에서 분식회계 혐의가 발견됐다고 7일 중국신문망 등이 보도했다. 상무부연구원은 세미스(Themis)라는 방식을 이용해 분식회계 혐의를 조사했다. 이는 재무보고서에 있는 판매원가 판매수입 채권 채무 등 연관 항목들의 불합리한 수치와 통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분식 여부를 추정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실제 장부를 놓고 무형자산 순자산 대출 등의 항목에 대해 실사를 해 분식 여부를 판단하는 회계감사는 아닌 셈이다.
그러나 정부기관이 상장기업들의 절반가량에 분식회계 혐의가 있다고 공포한 것은 이례적이다. 정부가 앞으로 분식회계에 대해 손을 보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현재 중국은 상장사들이 국내 수백개에 이르는 회계법인에서 감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재무보고서도 외부에 공개하지 않는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는 지난해 분식회계가 의심되는 중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집중 조사를 벌였으며 관련 책임을 물어 글로벌 회계법인을 고소하기도 했다. 중국 회계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국 기업 실사를 나가보면 대부분 세무보고용, 은행 제출용, 내부 관리용 등 3~4개의 장부를 갖고 있는 게 기본”이라며 “중국 기업이 글로벌 기업이 되려면 반드시 회계 부문을 개혁해야 한다”고 말했다.
분식회계 혐의가 있는 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부동산 관련 기업이 가장 많았다. 부동산 업종은 조사 대상의 84.6%에 분식 혐의가 있었다. 이어 소매(79.1%) 건축(72.2%) 도매(70.6%) 복합(62.3%·한 회사가 두 가지 업종 이상의 사업을 하는 것) 등의 순이었다.
분식혐의가 있는 회사중 73.2%가 채권 채무관계를 이용해 분식을 한 것으로 추정됐다. 즉 이미 부실화된 채권을 비용으로 처리하지 않고 자산으로 편입시키거나, 채권 채무를 누락시키는 방법을 주로 쓴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재무 상태도 악화
상장사들의 재무안전성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에 재무위험이 있거나 재무위험이 비교적 높은 기업이 조사 대상의 28.1%인 475개사에 달했다. 상무부연구원은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100점 만점으로 환산해 39점 이하일 경우 재무위험이 있다고 판단한다. 19점 이하이면 재무위험이 비교적 높은 기업으로 간주한다. 반면 재무안전도가 비교적 우수한 기업(60점 이상)은 23개사로 전체의 1.36%에 불과했다.
상무부 관계자는 “상장회사의 재무안전총지수는 지난해 3분기 말 현재 4776.67로 전년 동기에 비해 13.7%나 떨어졌다”며 “이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이라고 말했다.
조사 대상 기업 중 재무위험이 있는 기업의 비중은 부동산업이 63.6%로 가장 높았다. 이어 건축(55.6%) 도매(52.9%) 복합(47.2%) 운수(31.7%) 순이었다. 상무부 연구원은 “재무위험이 있는 회사 중에서 분식회계 혐의가 있는 회사는 65.3%에 달했다”며 “증시 퇴출 등의 압력으로 인해 부실 상장사들이 분식회계 유혹에 쉽게 빠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베이징=김태완 특파원 twkim@hankyung.com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반전에 충격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헉'
▶ 이봉원, 박미선 몰래 사채썼다 빚이 7억 '충격'
▶ 허경환, '허닭' 으로 대박난줄 알았더니 갑자기
▶ '한성주 동영상' 적나라한 진실 드러나 '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