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길·김자혜 한은 금융규제팀 과장은 8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유동성 불일치 지표(LMI)를 활용한 국내은행의 유동성 리스크 평가' 보고서를 발표했다.
LMI란 은행의 부채유동성 지수와 자산유동성 지수의 차이를 뜻한다.
LMI가 커질수록 은행이 빌린 부채는 빨리 갚아야 한다. 그러나 막상 은행이 다른 곳에 빌려준 자산은 빨리 회수를 하지 못하는 위기 상황에 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신 과장은 국내은행의 LMI가 2000년대 초반부터 지속적으로 상승하다 금융위기 당시 최고수준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신 과장은 "금융위기 이후 예대율 규제 시행과 함께 앞으로 단기유동성 비율(LCR) 규제가 도입될 예정이어서 LMI가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그러나 당분간 유동성 불일치가 크게 확대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진단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open@hankyung.com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반전에 충격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헉'
▶ 이봉원, 박미선 몰래 사채썼다 빚이 7억 '충격'
▶ 허경환, '허닭' 으로 대박난줄 알았더니 갑자기
▶ '한성주 동영상' 적나라한 진실 드러나 '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