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대출보다 더 높아져…"금융위 판매자제 지도 탓"
![](http://www.hankyung.com/photo/201301/2013011032691_2013011018371.jpg)
시중은행들이 지난해 금융권의 ‘메가 히트’ 상품이었던 적격대출 상품 금리를 연말·연초에 기습 인상해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우리은행은 작년 12월 초 10년 만기 비거치식 적격대출을 연 4.04% 수준에서 내줬는데, 이달 들어 연 4.29%로 0.25%포인트 올렸다. 주택금융공사를 통해 유동화하지 않는 일반 장기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상품은 이 기간에 금리를 0.1%포인트 올린 것과 대조적이다. 지난달에는 적격대출이 일반 대출보다 0.1%포인트 금리가 낮았는데 이달에는 적격대출이 오히려 0.05%포인트 높은 역전 현상이 일어난 것. 다른 은행도 대동소이하다.
이 같은 금리 역전에 대해 A은행 관계자는 “금융감독 당국에서 적격대출이 좀 덜 팔리도록 금리를 조정하라고 지도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B은행 관계자는 “작년 말 채권금리가 올랐지만 채권금리 인상 효과를 적격대출에 많이 반영하고 다른 대출에 덜 반영한 것은 금융감독 당국의 의지에 따른 것”이라고 했다.
금융위원회가 적격대출 판매 자제를 시중은행에 요구한 공식적인 이유는 “적격대출 증가세가 예상보다 훨씬 빨라 가계부채 문제를 부채질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은행권 관계자들 해석은 다르다. 금융위에서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해 올해부터 활성화하기로 한 커버드본드(CB·우선변제권부채권) 제도와 적격대출이 ‘경쟁 관계’라는 점이 작용했다는 것이다. 적격대출과 커버드본드는 모두 담보부채권을 발행해 시장에서 싸게 자금을 조달한다. 채권 발행 기관이 적격대출은 주택금융공사(공공기관), 커버드본드는 은행이라는 차이가 있지만 구조는 비슷하다. 이 관계자는 “적격대출 쏠림 현상이 심해지면 커버드본드 시장 자체가 고사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해 금융위가 속도조절에 나선 것 같다”고 지적했다.
주택금융공사도 금융위 지도에 따라 올해 적격대출 판매 규모를 당초 계획의 3분의 2 수준인 21조원으로 줄였다. 공사 관계자는 “작년 20조원가량 적격대출이 나가서 올해는 30조원으로 규모를 늘리려 했으나 정부 방침에 따라 목표를 줄여 잡았다”고 말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 고영욱, 18세女에 "우리, 밤에 은밀하게…" 충격 폭로
▶ 유명女배우, 생방송 중 '19금 성행위' 돌발 행동…'경악'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반전에 충격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헉'
▶ 이봉원, 박미선 몰래 사채썼다 빚이 7억 '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