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의 시계 메카’로 꼽히는 롯데백화점 에비뉴엘이 올봄에 2층 시계전문관을 전면 개편한다. 프리미엄급으로 꼽히는 하이엔드 시계로는 바쉐론콘스탄틴과 브레게, 블랑팡을 전면에 내세우고 대중적인 매스티지 브랜드로는 IWC, 오메가를 간판으로 내걸기로 했다. 1월부터 순차적으로 공사를 진행, 3~4월께 리뉴얼을 마치면 파텍필립을 제외한 모든 시계 브랜드 라인업을 갖추게 된다.
○중국인이 국내 시계시장 키워
![](http://www.hankyung.com/photo/201301/2013011033221_2013011018571.jpg)
바쉐론콘스탄틴과 브레게, 블랑팡은 모두 기본 3000만원대부터 시작하는 고가 브랜드다. 바쉐론콘스탄틴의 스테디셀러는 초박형 클래식 시계 ‘패트리모니 컨템포러리 데이트 오토매틱’(사진)으로 3000만원대의 엔트리급 시계다.
단독 부티크를 연다는 것은 10억~20억원대의 인테리어 비용과 재고 부담을 감당할 수 있을 만큼 ‘잘나가는’ 브랜드라는 의미다. 김면정 예거르쿨트르 마케팅팀 과장은 “예거르쿨트르와 랑에운트죄네의 국내 정식 부티크 매장은 에비뉴엘 한 곳밖에 없는데 상징적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하이엔드급 시계 브랜드를 전면에 내세우는 건 에비뉴엘의 고급화 정책이기도 하지만 ‘큰손’ 중국인을 겨냥한 전략이란 설명이다. 물론 면세점에서 구입하는 금액이 많지만 상품 수와 품목이 적은 탓에 에비뉴엘을 찾는다는 설명이다. 김신욱 롯데백화점 해외패션MD팀 시계보석 담당 상품기획자(MD)는 “중국이 한국보다 시계가격을 평균 20%가량 비싸게 판매하기 때문에 시계를 사러 오는 중국인이 많다”고 전했다.
○1000만원대 예물시계 ‘인기’
![](http://www.hankyung.com/photo/201301/2013011033221_2013011018581.jpg)
20~30대 남성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고 있는 파네라이의 단독 부티크를 부쉐론 자리에 내주기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500만~700만원대부터 시작하는 파네라이 시계는 랜드로버 차와 같은 남성적인 이미지가 특징이다. 태그호이어보다는 비싸고 브라이틀링과 비슷한 수준이다.
오메가도 예물시계로 각광받고 있다. 500만~900만원대에서 구입할 수 있는 오메가와 롤렉스 엔트리급, 1000만원대의 IWC와 예거르쿨트르의 엔트리급 시계 등이 요즘 뜨는 브랜드란 설명이다. 에비뉴엘은 또 DKSH가 수입하는 율리스나르덴, 보베, 모리스 라크로와의 멀티숍 공사도 진행 중이다. 꾸준히 인기를 누리고 있는 롤렉스가 월평균 13억원대의 매출을 내고 있으며, 2~10위권 브랜드도 1억~5억원대를 기록하고 있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 고영욱, 18세女에 "우리, 밤에 은밀하게…" 충격 폭로
▶ 유명女배우, 생방송 중 '19금 성행위' 돌발 행동…'경악'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반전에 충격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헉'
▶ 이봉원, 박미선 몰래 사채썼다 빚이 7억 '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