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블라인드 전형’ 아이디어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민간기업에서 실험적으로 일부 채용에 적용한 적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면 실시되지 못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우선 학력을 모르면 채용 단계에서 엄청난 탐색 비용과 시간이 든다. 몇 분 간의 면접으로 그 사람의 적성과 능력을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원자가 어떤 실력과 자질을 갖췄는지 알아내기 위해 수많은 시행착오와 별도의 시험을 거쳐야 한다. 더구나 갈수록 전문적 지식이 중요한 시대다.
채용시 학력을 고려하는 것을 학력 차별이라고 볼 수 없다. 전공은 무엇이며 학교 성적은 어떠했는지를 알아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물론 오로지 어느 학교를 나왔는지만으로 합격 여부를 정한다면 이는 명백한 차별이다. 하지만 학력과 성적표 아닌 과연 무엇으로 그 사람의 능력과 자질과 인내심, 주어진 과업에 대한 태도를 측정한다는 말인가. 어느 대학에서 무엇을 전공했는지 어떻게 살아왔는지, 어떤 준비가 돼 있는지를 보여주는 가장 기초적인 정보가 바로 학력과 성적이다.
학력 차별을 없애는 것과 학력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전혀 별개의 문제다. 인수위의 ‘학력 블라인드 전형’은 얼핏 그럴 듯하지만 결과적으로 학력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채용에서 학력이 인정되지 않는다면 이는 심각한 문제다. 이번 인수위에는 유독 교수들이 많다. 학력을 따지지 않고 박사학위증를 보지 않았더라면 과연 이들이 인수위원이 될 수 있었을까. 어떻든 행정고시 합격증도 있어야 하고 요리사 자격증도 영양사 자격증도 필요한 것이다. 각종 국가자격증이 존재하는 이유도 이와 유사하다. 그런데 학교 졸업증을 보지 말라니. 어떤 업무든지 전문적 자격과 자질이 필요한 것이고 학력은 이를 알려주는 가장 중요한 잣대다. 무작정 빈칸으로 채용하라면 또 다른 스펙을 갖추느라 구직자들만 더 분주해질 것이다.
▶ 고영욱, 18세女에 "우리, 밤에 은밀하게…" 충격 폭로
▶ 유명女배우, 생방송 중 '19금 성행위' 돌발 행동…'경악'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반전에 충격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헉'
▶ 이봉원, 박미선 몰래 사채썼다 빚이 7억 '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