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1/2013011388591_2013011354081.jpg)
엔화 가치가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지난해 2월1일 달러당 76.11엔이던 엔화 가치는 지난 11일 89.17엔(도쿄시장 종가 기준)까지 떨어졌다. 11개월 남짓한 사이에 17.40%에 이르는 하락폭이다. 이날 일본 정부가 내놓은 20조엔(약 240조원)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엔화 하락을 부채질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엔화가 언제까지 떨어질까다. 파이낸셜타임스(FT)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들은 오는 21~22일 열리는 일본 중앙은행 금융정책결정회의가 첫 번째 고비가 될 것이로 예상했다. 장기적으로는 아베 신조 내각이 제시한 연 2%의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얼마나 달성하느냐가 관건이다.
○일본은행 선택이 첫 번째 관문
![](http://www.hankyung.com/photo/201301/2013011388591_2013011354091.jpg)
여기에 대한 기대감은 현재 엔화 가치에 상당 부분 반영된 상태다. 야스나리 우에노 미쓰비시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회의 결과가 기대에 못 미치면 엔화는 정반대로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신용평가사 피치는 “일본은행의 정책목표 수정을 주의깊게 지켜볼 것”이라고 했다. 지나친 양적완화에 따른 부채 증가가 신용등급 강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일본은행에는 부담이다.
○경기 회복 안 되면 연말 75엔까지 상승
장기적으로는 양적완화와 이에 따른 엔화 가치 하락이 고질적인 디플레이션에서 일본을 구해낼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HSBC는 정부 정책이 실패한 것으로 결론날 경우 엔화는 올해 말 달러당 75엔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국가부채 비율이 200%를 넘어선 가운데 앞으로 돈을 풀기는 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경기 회복 전망은 부정적이다. 아베 내각이 제시한 연 2%의 물가상승률 목표치는 1991년 이후 한번도 달성하지 못했다.
일본은 2009년에도 13조9000억엔의 양적완화를 단행했지만 물가는 1.34% 뒷걸음질쳤다.
엔화가 한창 떨어지던 12월 물가도 전달 대비 0.6% 하락했다. BNP파리바는 “세계경제가 회복되지 않은 가운데 자체 양적완화만으로 일본 정부가 목표를 달성할 수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해외 매체들의 시각은 더욱 회의적이다. FT는 13일 “수익성이 떨어진 기업과 고령화에 따른 수요 감소가 디플레이션의 원인”이라며 “양적완화는 아무것도 바꿀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WSJ도 “일본 정부가 통화정책 효과를 과장하고 있다”며 “엔화 약세로 산업 경쟁력이 살아날 수는 없다”고 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
▶ 고영욱, 18세女에 "우리, 밤에 은밀하게…" 충격 폭로
▶ 유명女배우, 생방송 중 '19금 성행위' 돌발 행동…'경악'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반전에 충격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헉'
▶ 이봉원, 박미선 몰래 사채썼다 빚이 7억 '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