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중앙은행 '엔저'에 액셀 밟나

입력 2013-01-13 17:17   수정 2013-01-14 02:55

21일 금융정책회의 … "경기부양 실패땐 1달러=75엔 치솟을수도"



엔화 가치가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지난해 2월1일 달러당 76.11엔이던 엔화 가치는 지난 11일 89.17엔(도쿄시장 종가 기준)까지 떨어졌다. 11개월 남짓한 사이에 17.40%에 이르는 하락폭이다. 이날 일본 정부가 내놓은 20조엔(약 240조원) 규모의 경기부양책도 엔화 하락을 부채질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엔화가 언제까지 떨어질까다. 파이낸셜타임스(FT)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들은 오는 21~22일 열리는 일본 중앙은행 금융정책결정회의가 첫 번째 고비가 될 것이로 예상했다. 장기적으로는 아베 신조 내각이 제시한 연 2%의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얼마나 달성하느냐가 관건이다.

○일본은행 선택이 첫 번째 관문

일본은행 금융정책결정회의의 핵심 안건은 현재 1%인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정부 요구대로 2%까지 올리느냐 여부다. 일본 정부는 물가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하면 일본은행이 해명하도록 의무화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또 일본은행의 정책목표에 고용안정도 포함시키도록 밀어붙이고 있다. 일본은행이 이미 101조엔에 이른 자산매입기금을 증액해 추가 양적완화에 나설지도 관심이다.

여기에 대한 기대감은 현재 엔화 가치에 상당 부분 반영된 상태다. 야스나리 우에노 미쓰비시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회의 결과가 기대에 못 미치면 엔화는 정반대로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신용평가사 피치는 “일본은행의 정책목표 수정을 주의깊게 지켜볼 것”이라고 했다. 지나친 양적완화에 따른 부채 증가가 신용등급 강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일본은행에는 부담이다.

○경기 회복 안 되면 연말 75엔까지 상승

장기적으로는 양적완화와 이에 따른 엔화 가치 하락이 고질적인 디플레이션에서 일본을 구해낼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HSBC는 정부 정책이 실패한 것으로 결론날 경우 엔화는 올해 말 달러당 75엔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국가부채 비율이 200%를 넘어선 가운데 앞으로 돈을 풀기는 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경기 회복 전망은 부정적이다. 아베 내각이 제시한 연 2%의 물가상승률 목표치는 1991년 이후 한번도 달성하지 못했다.

일본은 2009년에도 13조9000억엔의 양적완화를 단행했지만 물가는 1.34% 뒷걸음질쳤다.

엔화가 한창 떨어지던 12월 물가도 전달 대비 0.6% 하락했다. BNP파리바는 “세계경제가 회복되지 않은 가운데 자체 양적완화만으로 일본 정부가 목표를 달성할 수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해외 매체들의 시각은 더욱 회의적이다. FT는 13일 “수익성이 떨어진 기업과 고령화에 따른 수요 감소가 디플레이션의 원인”이라며 “양적완화는 아무것도 바꿀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WSJ도 “일본 정부가 통화정책 효과를 과장하고 있다”며 “엔화 약세로 산업 경쟁력이 살아날 수는 없다”고 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


▶ 고영욱, 18세女에 "우리, 밤에 은밀하게…" 충격 폭로

▶ 유명女배우, 생방송 중 '19금 성행위' 돌발 행동…'경악'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반전에 충격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헉'

▶ 이봉원, 박미선 몰래 사채썼다 빚이 7억 '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