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1/2013011526881_2013011580251.jpg)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지난 2일 열린 2013년 그룹 시무식에서 올해 그룹 경영 방침을 ‘품질을 통한 브랜드 혁신’으로 제시했다. 올해 경영환경이 지난해보다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질적인 성장을 통해 내실을 강화하고,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 임직원이 역량을 결집할 것을 당부했다.이를 위해 현대차그룹은 △브랜드에 대한 자부심을 주는 혁신적 품질경영 추진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투자와 고용 확대 △부문 간 의사소통 및 협력으로 741만대 판매목표 달성 △국가 경제와 사회 발전에 공헌하는 모범적인 기업 역할 등을 올해 주요 추진 과제로 정했다.
○2012년 어려움 속 성장 지속
정 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2012년 현대차그룹은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성장과 발전을 지속했다”고 말했다. 현대·기아차의 세계시장 판매대수는 2002년 271만대에서 지난해 712만대로 2.6배 늘었다. 특히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3분기까지 10.3%를 기록했다. 독일의 프리미엄 자동차회사인 BMW와 비슷한 수치다.
현대·기아차는 국내 판매가 부진한 상황 속에서도 유럽지역 판매 성장, 중국 현지화 전략, 러시아 및 브라질 공장의 성공적 가동으로 인한 신흥시장 판매 확대 등으로 인해 성장세를 이어갔다고 분석했다. 이에 브랜드 가치도 상승해 지난해 10월 인터브랜드가 발표한 ‘2012 글로벌 100대 브랜드’에서 현대차가 전년 대비 8계단 상승한 53위를 기록, 아우디를 제치고 자동차 브랜드 7위로 올라섰다. 기아차도 87위로 처음 100위권에 진입했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301/2013011526881_2013011574781.jpg)
정 회장은 올해 경영환경이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울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위기의식을 갖고 내실을 다져야 한다는 의미다. 그는 “올해는 유럽 재정 위기와 글로벌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국내외 시장환경이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올해 질적인 성장을 통해 내실을 강화하고 미래를 위한 경쟁력 확보에 집중해야 이를 극복할 수 있다”고 당부했다.
현대·기아차는 올해 글로벌 시장에서 한정된 수요를 놓고 업체들 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만큼 양적 팽창보다는 주요 전략 차종을 중심으로 한 제값 받기와 브랜드 인지도 제고,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 등에 집중할 계획이다. 정 회장도 “모든 접점에서 고객에게 만족과 감동을 제공함으로써 브랜드에 대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품질을 통한 브랜드 혁신’을 강조했다.이와 함께 현대·기아차는 장기적인 원·달러 환율 하락 추세와 최근 급격한 엔저 상황에 따른 피해도 우려하고 있다. 이에 올해 환율을 가장 중요한 경영환경의 변수로 삼고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비하고 있다.
○지역별 맞춤형 신차로 승부
현대·기아차는 지난해 40만대 규모의 베이징3공장과 15만대 규모의 브라질 공장을 완공했다. 정 회장은 신년사에서 “전 세계 9개국, 30개 공장의 글로벌 생산체제를 구축했다”며 “‘글로벌 생산 포트폴리오’를 갖췄기 때문에 올해도 외부의 돌발 변수나 국지적 충격에 흔들림 없는 ‘위기에 강한 체질’이 빛을 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이 같은 글로벌 생산기지를 바탕으로 현지화 전략과 마케팅 활동으로 판매량을 늘릴 방침이다. 정 회장은 지난해 말 전 세계 현대·기아차 해외법인장이 참석한 회의 자리에서 “구체적인 시장 상황이 어렵겠지만 해외 시장에서 성장동력을 잃으면 안 된다”며 “현대·기아차의 살 길은 여전히 해외 시장에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미래 성장동력은 기술 확보에서”
정 회장은 ‘미래 성장동력 확보’도 주문했다. 현대차는 현재 진행 중인 친환경차 개발에 역량을 집중해 향후 글로벌 선두 업체로 도약하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기아차는 2014년 상반기에, 현대차는 2015년 하반기에 각각 준중형급 전기차를 출시해 전기차 분야 글로벌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수소연료전지차 부문에선 울산 공장에서 생산하기 시작한 ‘투싼ix 수소연료전지차’를 2015년까지 유럽을 비롯한 세계 시장에 1000대가량 판매할 계획이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
▶ 박신양이 자랑한 '7천만원대' 신혼집 보니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대반전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논란
▶ 이봉원, 박미선 몰래 사채썼다 빚이 '7억'
▶ 완벽 미모女 "남편이 시도 때도 없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