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적률 상향 사업성 좋아져…아파트값 하락 멈출 듯
![](http://www.hankyung.com/photo/201301/2013011717061_2013011721141.jpg)
서울 강동권의 최대 규모 재건축 단지인 둔촌주공이 1만1000여가구의 대단지로 다시 태어난다.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가 지난 16일 일부 단지의 용적률을 높여줌에 따라 재건축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됐다. 용적률 상향으로 신축주택 물량이 많아짐에 따라 재건축 수익성도 높아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조합은 이르면 내년 봄부터 이주에 들어갈 예정이다.
◆용적률 높아져 재건축 급물살
![](http://www.hankyung.com/photo/201301/2013011717061_2013011721091.jpg)
양용택 서울시 공동주택 과장은 “50m의 둔촌로와 70m의 강동대로를 끼고 있고, 지하철 5·9호선이 단지와 직접 연결돼 있어 3종의 여건을 충분히 갖췄지만 동쪽의 그린벨트를 보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주거여건이 양호한 요충지에는 주택공급을 늘리고 임대주택을 적극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가구 수를 늘려주는 대신 전체 주택의 30%(3326가구)를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으로 짓도록 했다. 소형 주택의 크기도 다양화하도록 했다.
또 459가구였던 장기전세주택도 1006가구로 늘려 추가로 임대주택 549가구를 확보했다. 이와 함께 사업부지의 15%를 공공의 이익을 위해 내놓도록 했다. 이 땅은 공원 여성문화회관 등 기반시설과 사회복지시설을 짓는 데 사용한다. 최고 층수는 35층으로 제한했다. 특히 단지 경계부에 있는 동(棟)의 층수를 낮춰 주변 거주자들의 조망권을 배려하도록 했다.
◆강동권 ‘미니 신도시’로 탈바꿈
1980년에 지어진 둔촌주공은 5층 높이 2개 단지와 10층 높이 2개 단지 등 4개 단지 5930가구(부지면적 62만6232㎡)로 구성돼 있으며 2003년 10월 추진위원회가 설립됐다. 그러나 상가조합원과의 분쟁 등으로 난항을 거듭했다.
조합은 9개월 만에 종 상향의 고비를 넘김에 따라 재건축 사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설계를 마치는 대로 시에 건축심의와 사업시행인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조합 관계자는 “사업 진행의 최대 걸림돌이었던 용적률 문제가 해결된 만큼 최대한 사업을 서두르겠다”며 “이르면 내년 봄 관리처분 인가를 받고 이주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둔촌주공이 강동구의 랜드마크 단지가 될 수 있도록 돕기로 했다. 이건기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건축계획을 수립할 때 시 공공건축가를 투입해 미래 주거 단지의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사업성을 놓고 고민하던 시공사(현대건설, 대우건설, 현대산업개발, 롯데건설)는 고무된 분위기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사업성이 좋아져 추가분담금을 둘러싼 시공사와 조합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부분적인 종 상향이 성사되면서 아파트값 하락세도 멈췄다. 이달 들어 1단지 전용 51㎡형이 6억3000만원 수준에서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둔촌동 금탑공인의 강성규 대표는 “종 상향 기대감으로 새해 들어 급매물이 줄어들고 가격 하락세가 멈췄다”고 전했다.
조성근/이현일 기자 truth@hankyung.com
▶ '개콘' 김대희, 족발집 '몰빵' 한달 챙기는 돈이
▶ 박신양이 자랑한 '7천만원대' 신혼집 보니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대반전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논란
▶ 완벽 미모女 "남편이 시도 때도 없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