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엔저가 여기서 멈추지 않을 것이란 점이다. 이른바 아베노믹스의 고환율 정책은 갈수록 노골화되고 있다. 당장 일본 중앙은행이 21~22일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2%의 인플레이션을 타깃으로 정해 여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유동성을 제한없이 공급하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는 얘기까지 나온다. 일본 시장분석가들은 달러당 100엔을 기정사실화하는 상황이다. 아베 총리의 경제 자문을 맡고 있는 한 교수는 지난 18일 외국특파원협회 초청 강연에서 110엔은 인플레이션 위험이 있지만 95~100엔은 문제없다고 공언했다. 일본에 앞서 무제한적 유동성 공급에 나선 미국과 유럽조차 엔저를 경고하는 정도다.
사정이 급한 곳은 한국이다. 자동차 석유화학 원전 해양플랜트 등 제조업 전반에 걸쳐 일본과 경쟁하고 있는 상황이다. 환율은 도리 없이 따라갈 수밖에 없는 변수다. 1달러 100엔 시대에 맞춰 원가를 최대한 절감하고 가격 외의 수출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방법밖에 없다. 언제까지 고환율 타령만 할 수는 없는 일이다. 일본은 70엔대 상황도 버티고 살았다. 국내 중소 부품업체들엔 엔저가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엔화 대출이 많은 기업은 더욱 그렇다. 위기는 기회의 또 다른 표현이다. 결국 필요한 것은 경쟁력이다. 도전하는 기업만이 살아남는다.
▶ '개콘' 김대희, 족발집 '몰빵' 한달 챙기는 돈이
▶ 박신양이 자랑한 '7천만원대' 신혼집 보니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대반전
▶ 완벽 미모女 "남편이 시도 때도 없이…"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논란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