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적완화 종료·세금 늘면 성장률 1%P 떨어질 수도
3%대 성장률 유지위해 야당과 초당적 협조 필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1기 임기(2009년 1월~2013년 1월) 중 뉴욕 증시의 S&P지수는 85% 상승했다. 빌 클린턴(79%), 조지 H W 부시(51%) 로널드 레이건(30%) 조지 W 부시(-12%) 등 1981년 이후 5명의 대통령 가운데 1기 재임기간 주가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투자자문사 야드니리서치의 에드 야드니 사장은 “금융위기 이후 낙폭 과대에 따른 반발, 경기부양책으로 인한 경제 회복이 어우러진 결과”라며 “오바마는 운 좋은 대통령”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1900년 이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평균 주가상승률은 10.2%에 불과했다”고 강조했다. 오바마 2기 경제가 장밋빛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경기부양’에서 ‘재정긴축’으로
![](http://www.hankyung.com/photo/201301/2013012103691_2013012167361.jpg)
워싱턴포스트는 20일(현지시간) 사설에서 “정부가 교육과 연구·개발, 사회간접자본 등에 집중 투자해 경제의 지속 성장을 이끌어내는 오바마노믹스가 재정적자 문제로 난관에 부닥쳤다”고 진단했다. 정부 주도의 중산층 복원과 일자리 창출에 험로가 예상되는 대목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작년 12월 실업자 1220만명과 실업률 7.8%를 거론하면서 “지금처럼 성장률이 2%대에 머문다면 오바마는 전후 최대 실업률이란 불명예를 안고 떠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3%대의 성장을 위해서는 지출 감축, 규제 완화, 세금 개혁 등에 대해 공화당과 함께 해법을 찾은 클린턴의 길을 가야 할 것”이라며 초당파적 정치를 주문했다.
○세금 인상과 금융긴축 가능성
세금정책도 감세에서 증세로 방향을 틀었다. 경기부양책의 34%를 차지한 감세 혜택이 거의 종료되면서 이제는 대부분의 국민들이 세금을 더 내야 한다. 올해부터 연소득 40만달러(부부 합산 45만달러) 이상 고소득자의 소득세율은 종전 35%에서 39.6%로 오른다. ‘부자증세’ 대상자가 전체 1~2%에 불과하지만 이들의 씀씀이와 기업가들의 투자 의욕이 떨어질 수 있다.
중산층도 세 부담이 늘어난다. 근로소득자의 급여소득세(사회보장연금 관련 세금)가 종전 4.2%에서 올해 6.2%로 올랐기 때문이다. 마이클 페롤리 JP모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급여소득세 인상과 부자증세로 인해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이 1%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Fed의 양적완화 조기 종료 가능성이 거론되는 것도 경제의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최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을 분석하면서 “Fed가 2013년 양적완화를 종료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워싱턴=장진모 특파원 jang@hankyung.com
▶ '개콘' 김대희, 족발집 '몰빵' 한달 챙기는 돈이
▶ 박신양이 자랑한 '7천만원대' 신혼집 보니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대반전
▶ 완벽 미모女 "남편이 시도 때도 없이…"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논란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