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starnews.hankyung.com/wstardata/images/photo/201301/273f892ea9814553050d7ce585bf7f72.jpg)
[라이프팀] 10년 후 젊은이 2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22일 미래에셋은퇴연구소와 통계청, 유엔 등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노년부양비’는 16.7%로 추정된다.
노년부양비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100명당 노년(65세 이상) 인구를 보여주는 비율로, 올해 노년부양비 16.7%는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노인 16.7명, 즉 젊은이 6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실제 젊은층의 부양 부담은 이보 다 큰 것으로 드러났다. 핵심생산인구는 생산가능인구 중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인 25~49세에 해당하는 인구로 올해 65세 이상 인구는 613만8000명, 핵심생산인구는 1978만4000명으로 각각 추정된다. 이에 따라 젊은이 3.2명당 노인 1명을 부양하는 것.
특히 10년 후인 2023년에 노년부양비가 52.0%로 예측돼 10년 후 젊은이 2명당 노인 1명을 부양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이를 접한 네티즌들은 “10년 후 젊은이, 힘들겠다”, “10년 후 젊은이 2명이 노인 1명 부양, 쉬운 일이 없네”, “10년 후 젊은이, 부양 부담 크네”라며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경닷컴 w스타뉴스 기사제보 life@wstarnews.com
▶ 패기 넘치는 조퇴 사유, 공부도 '기분' 따라?
▶ 과외선생 vs 학생, 메시지 전송이 실패된 이유는?
▶ 그래픽 카드의 중요성, 캐릭터 사지도 잘라먹는 성능 '무섭네'
▶ 싸이 가사 자막 포기, 한국어로 들어야 제 맛인 ‘강남스타일?’
▶ [포토] 스피카 양지원, 이기적 각선미 (쇼!음악중심)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