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원리를 무시한 보험상품의 폐해는 농작물 재해보험에서도 이미 목격되고 있다. 농작물 재해보험 대상작물은 올초 40개로 늘어났다. 부추 시금치 상추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등 다섯 개가 추가됐다. 작년에도 인삼 멜론 녹차 등 5개 작물이 새로 편입됐다. 2001년 사과와 배로 시작했지만, 농업종합대책 같은 것이 한 번 나올 때마다 대상 작물은 계속 불어났다. 박 당선인도 5년 안에 50개로 늘리는 것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농민은 가입할 때 보험료의 25%만 내면 된다. 나머지는 정부와 지자체가 맡는다. 지역사회의 특성상 피해 판정도 주먹구구식으로 하는 경우가 많을 수밖에 없다. 작년 손해율은 357%다. 100만원 보험료를 받아서 357만원을 내줬다는 뜻이다. 올해 정부는 재해보험기금 편성액을 작년의 3분의 1 수준인 705억원으로 줄였다. 보험사들이 사업포기를 검토하는 것은 당연하다.
정부가 시장을 대신할 수는 없다. 정부가 개입하는 순간 시장은 궤도에서 이탈한다. 암보험 농작물 재해보험 같은 상품이 제 기능을 다하려면 검증과 경쟁이라는 시장원리에 맡기는 게 최선이다. 보험연구원조차 공약 폐기를 주장한 이면을 당선인 측은 곰곰이 생각해보길 바란다.
▶ 소유진 남편, 연대 나왔는데 17억 빚 떠안고…
▶ '개콘' 김대희, 족발집 '몰빵' 한달 챙기는 돈이
▶ 박신양이 자랑한 '7천만원대' 신혼집 보니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대반전
▶ 완벽 미모女 "남편이 시도 때도 없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