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국을 떠나는 외국계 IB들의 심상찮은 동향

입력 2013-01-27 16:44   수정 2013-01-28 07:05

외국계 투자은행(IB)들이 잇따라 한국을 등지고 있다고 한다. 영국계 IB인 바클레이즈캐피털증권은 서울지점 IB부문을 철수하기로 하고 최근 직원 전원에게 해고 통보를 했다. 앞서 지난 연말에는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이 한국법인을 폐쇄했고 RBS(로열뱅크 오브 스코틀랜드)도 서울지점 IB사업부을 매각했다. HSBC는 소매금융을 접기로 했고 아비바그룹도 한국에서 떠나기로 하고 철수를 준비 중이다. 외국계 금융사의 이탈설이 줄을 잇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관련업계에서는 한국 내 원인보다는 본사의 실적 부진과 구조조정이 철수의 주된 이유라고 보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 유럽 재정위기까지 겹치면서 글로벌 은행과 보험 자산운용사 등이 대부분 자금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이다. 본사의 자금난으로 해외조직을 축소한다는 설명은 일면 수긍할 만하다. 그러나 유독 한국에서 떠나고 있다면 쉽게 보아넘길 문제가 아니다. 당장 한국 시장의 수익성이 높다면 앞다퉈 떠나지는 않을 것이다. 시장성이 낮은 터에 마침 구조조정이 시작되자 한국이 우선 정리 대상에 포함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나홀로 약세를 보이는 국내 증시의 모습을 보면 이런 설명은 더욱 설득력이 있다. 올 들어 코스피지수 수익률은 -2.5%다. MSCI 세계지수(4.0%)와 미국 S&P500 지수(4.8%) 수익률과는 딴판이다. 지난 2주간 외국인은 1조5000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뱅가드의 벤치마크 변경에 따른 매도와 엔화 약세를 감안하더라도 과도한 ‘셀(sell) 코리아’라고밖에 볼 수 없다.

한국을 금융허브로 육성해 보자던 게 불과 몇 년 전이다. 한국 시장의 투자 매력이 사라진 이유를 찾아야 한다. 무디스 등 국제 신용평가사들이 최근 국내 은행의 중소기업 지원 등 사회공헌 활동이 신용등급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주목하기 시작했다는 점만 해도 그렇다. 경제민주화가 금융시장에 어떤 결과로 나타날지 잘 보여주는 사례다. 새 정부가 출범하면 경제민주화라는 이름으로 금융 규제, 기업 규제는 더 많아지고 경제자유는 침해될 것이 뻔하다. 외국계 금융사가 한국에 남아야 할 이유가 점점 더 없어지고 있는 것이다.

▶ 소유진 남편, 연대 나왔는데 17억 빚 떠안고…

▶ '개콘' 김대희, 족발집 '몰빵' 한달 챙기는 돈이

▶ 박신양이 자랑한 '7천만원대' 신혼집 보니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대반전

▶ 완벽 미모女 "남편이 시도 때도 없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