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교섭본부장 출신의 김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에서 "오늘날 통상문제는 경제 전반에 걸쳐 나타나기 때문에 특정부처가 맡아서 관리하기 어렵다"며 "각 부처를 통솔하는 등 원만한 조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산업+통상'형은 개발도상국이 시행하는 형태로 여기에는 통상정책을 통해 제조업 등 유치산업을 보호하려는 의도가 담겨있다"며 "우리나라가 이 유형을 취하면 국제사회에 그릇된 신호를 보내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대부분 선진국은 통상을 별도 조직으로 갖고 있거나 호주와 캐나다, 뉴질랜드 등은 외교+통상형 조직을 두고 있다는 게 김 의원의 설명.
김 의원은 "제조업을 소관하고 있는 부처가 서비스시장, 지적재산권 보호, 공정거래, 환경, 노동, 투자자국가소송제도(ISD) 등의 이슈에 전문성을 발휘하기 어려워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뉴스팀 open@hankyung.com
▶ 소유진 남편, 연대 나왔는데 17억 빚 떠안고…
▶ '개콘' 김대희, 족발집 '몰빵' 한달 챙기는 돈이
▶ 박신양이 자랑한 '7천만원대' 신혼집 보니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대반전
▶ 완벽 미모女 "남편이 시도 때도 없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