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starnews.hankyung.com/wstardata/images/photo/201301/458553195522fda1463101e1728ce3e7.jpg)
[이선영 기자] “다리에 돋은 푸른 힘줄을 어떻게 하면 없앨 수 있을까요?”
다리피부에 튀어나온 핏줄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른바 ‘하지정맥류’다. 이처럼 푸르게 두드러져 보이는 것은 정맥의 일부가 확장하면서 여울목처럼 피가 소용돌이치기 때문에 생긴다. 다리 피부표면 쪽의 표재정맥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난 증상이다.
다리부위의 정맥순환은 크게 심부정맥과 표재정맥으로 2원화되어 있는데, 대부분은 심부정맥이 담당하며 표재정맥은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심부정맥과 표재정맥은 교통정맥으로 연결돼 있고 근육을 움직일 때마다 표재정맥에서 심부정맥 쪽으로만 혈액이 흐른다.
그런데 오랫동안 서서 일을 하면 하지정맥에서 심장으로의 혈액순환이 방해받게 되고 하지정맥 간 혈류가 거꾸로 흐르게 되는 일이 발생한다. 정맥류는 이때 많은 양의 피가 표재정맥으로 들어가 괴는 바람에 발생한다.
하지정맥류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조금만 오래 서있어도 다리가 아프고 발목이 붓는다거나 발에 쥐가 잘 난다는 등의 막연한 증세를 호소한다. 때로는 관절통이나 신경통과 유사한 증상을 겪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이 병원을 찾는 가장 흔한 이유는 시각적 혐오감 때문.
하지정맥류는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2∼3배 정도 더 많이 발견된다. 특히 임신으로 복압이 증가한 경우에 잘 생기며 장시간 서서 일하는 시간이 많은 세탁소, 교단, 식당, 백화점, 병원 등에서 일하는 직장 여성에게서 빈발한다.
물론 유전적으로 정맥에 문제가 있거나 정맥염을 앓고 난 사람도 조심해야 한다. 하지정맥류를 장기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정맥류내에서 피가 엉겨 혈전을 형성하게 되고 그 부위의 피부가 검게 변색될 수 있는 까닭. 심한 경우엔 피부가 상해서 벌어지는 일도 있다.
하지정맥류 치료에는 비수술적인 방법과 수술적 방법이 있다. 수술적 치료에서는 보통 혈관을 없애기도 하는데 정맥류가 진행된 혈관을 없애더라도 다른 우회 혈관을 이용해 심장 쪽으로 혈액순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한다.
임신 시 일시적 정맥 확장, 정맥류 발생 예방, 혹은 치료 후 재발방지의 목적 등의 경우에는 비수술적 방법인 압박붕대나 정맥류용 고탄력 압박스타킹을 착용한다. 또 다리를 올리거나 자주 걷는 물리치료로 증상을 호전시키거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정맥류 예방을 위한 압박스타킹은 여성들이 흔히 착용하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일반 스타킹과는 생산 목적이나 사용 용도가 다르다. 일정한 압력으로 다리의 근육을 조여 장딴지 근육의 이완·수축운동을 도와 정맥 혈액순환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한다.
치료 후에는 치료 부위를 압박하고 주변 혈관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통증 완화 및 치료 경과를 호전시킨다.
이밖에도 비수술적인 방법으로는 순환부전을 개선해주는 약물요법이 있다. 포도추출물, 특히 잎을 건조해서 추출한 폴리페놀이 혈관벽의 탄성을 높여 순환작용을 촉진하는 한림제약의 안토리브캡슐을 비롯해 한국웨일즈제약의 해모론캡슐, 한국웰팜의 비탁스캡슐 등이다.
한경닷컴 w스타뉴스 기사제보 life@wstarnews.com
▶ 여자가 가장 늙어 보일 때, 수요일 오후 ‘스트레스 정점!’
▶ 대입 선택 ‘대학 서열 보다는 학과가 중요…’
▶ 추위 100% 막는 방법, 되레 땀띠 생길 듯
▶ 딸을 둔 엄마의 패기, 친구들과 놀다가 엄마 문자에 뜨끔!
▶ [포토] 소녀시대 제시카, 얼음공주 고양으로 변신~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