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증권사 김형식 연구원은 "SK하이닉스의 지난 4분기 영업이익은 550억원으로 컨센서스(1050억원)를 밑돌았다"며 "일회성 인센티브 약 600억원 지급과 웨이퍼 인풋(INPUT) 증가에 따라 변동성 원가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김 연구원은 다만 "올해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은 설비투자 금액을 지난해보다 감소시킬 예정"이라며 "SK하이닉스도 전년대비 약 25% 감소한 2조9000억원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D램 수요와 공급은 안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중저가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에 따라 모바일 디램 경쟁이 치열해져 수익성이 다소 약해질 수 있지만, 모바일 디램을 생산할 수 있는 업체는 3개 밖에 없기 때문에 가파른 가격 하락도 제한될 것이란 분석이다.
김 연구원은 "현 주가에서는 채권단 오버행 물량이 나오지 않을 것"이라며 "하반기로 갈수록 시황이 호전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매력적인 매수 구간이라고 판단된다"고 했다.
그는 "올해 실적 대비 주가순자산비율(PBR)은 1.8배로 거래되고 있어 밸류에이션(실적대비 주가수준)은 여전히 저평가돼 있다"며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의 모바일 D램 스팩이 업그레이드되고 있어 SK하이닉스가 수혜를 볼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경닷컴 김효진 기자 jinhk@hankyung.com
▶ 싸이 '13억 저택' 미국에 숨겨뒀다 들통나
▶ 女아나운서 '신혼 아파트' 월세가 무려…
▶ '쿨' 김성수 "잘나갈 때 번 돈 모두" 눈물 고백
▶ 소유진 남편, 연대 나왔는데 17억 빚 떠안고…
▶ 박신양이 자랑한 '7천만원대' 신혼집 보니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