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1/2013013194871_2013013196931.jpg)
정부가 2027년 전력예비율을 22%로 끌어올리기 위해 석탄·액화천연가스(LNG) 등 1580만㎾ 규모의 화력발전 설비를 추가 건설하기로 했다.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의 2027년 발전량 비중 목표치도 당초 7%에서 12%로 높이기로 했다.
지식경제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제6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계획안은 1일 공청회와 7일 전력정책심의회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계획안에 따르면 국내 전력 수요는 매년 3.4%씩 증가, 2027년 최대 전력 수요가 1억2674만㎾로 올해(8037만㎾) 대비 57.7%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는 단계적인 전기요금 현실화와 에너지 절약 정책 시행 등을 통해 최대 전력 수요 전망치를 1억1089만㎾까지 낮출 방침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지경부는 2027년 전력예비율 22%를 맞추기 위해 1억3910만㎾ 규모의 전력 공급 확대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 중 2010년 5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 반영된 확정 설비 1억953만㎾를 제외하면 새롭게 건설할 발전설비는 총 2957만㎾에 달한다. 신규 2957만㎾ 중 1580만㎾(53.4%)는 석탄 및 LNG 화력발전으로 충당한다. 이를 위해 SK건설, 삼성물산, 동양파워, GS EPS, SK E&S, 현대산업개발, 동부, 대우건설 등 민간 기업 8곳과 남동·중부·남부·서부발전 등 공기업 4개가 신규 사업자로 선정됐다. 또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456만㎾ 추가로 늘려 전체 전력 공급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12%로 높일 방침이다.
원자력발전은 2025~2027년 사이 삼척과 영광에 지어질 4기(600만㎾) 용량을 일단 공급 계획안에 포함시켰지만 실제 건설 여부는 결정을 유보하기로 했다. 다만 5차 기본계획에서 2024년까지 짓기로 결정한 11기 원전은 당초 예정대로 건설할 계획이다. 이 중 신고리 3·4호기 등 5기는 현재 건설 중이며, 나머지 6기는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착공에 들어간다. 지경부 관계자는 “원전 신규 건설은 올해 8월 확정하는 2차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며 “만약 새 정부의 정책 방향이 원전 건설 축소로 정해지면 잡혀진 계획 물량을 화력발전 등으로 대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호/조미현 기자 dolph@hankyung.com
▶ 의사에게 성폭행 당한 女 "기억이 잘…"
▶ 싸이 '13억 저택' 미국에 숨겨뒀다 들통나
▶ 女아나운서 '신혼 아파트' 월세가 무려…
▶ '쿨' 김성수 "잘나갈 때 번 돈 모두" 눈물 고백
▶ 소유진 남편, 연대 나왔는데 17억 빚 떠안고…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