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무상보육이나 취득세 감면 모두 중앙정부가 추가로 부담해야 할 몫으로 귀결되는 모양새다. 가뜩이나 복지 교육 의료 등 공약 소요재원을 어떻게 마련해야 할지 골치가 아픈 것이 박근혜 인수위다. 부가세 문제는 더 큰 갈등 요소다. 부가세수 중 지방소비세 비율을 현행 5%에서 20%로 올리겠다는 인수위 방침이 관철된다면 정부 예산은 더욱 졸아들 게 뻔하다. 박 당선인은 지자체의 재정 자립도를 올리고 효율적인 재정 운용을 대선 공약으로 내세웠다. 그러나 중앙 정부에서 자금을 지원하고 세수를 보전해주는 것이 지자체 재정건전성을 강화하는 것으로 간주된다면 이는 본말전도다. 공기업 부채와 지방정부의 재정건전성은 국가신용등급을 평가할 때도 중요한 항목이다. 지자체 재무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지금으로서는 무상보육보다 오히려 시급하다.
박 당선인이 지자체장들에게 희망을 약속하는 것은 아름다운 장면일 수 있다. 그러나 돈 문제는 전혀 다르다. 당선인이 약속하면 국민이 감당해야만 하는 것인가. 공약은 아름답지만 그럴수록 세금청구서는 쌓여만 간다.
▶ 의사에게 성폭행 당한 女 "기억이 잘…"
▶ 싸이 '13억 저택' 미국에 숨겨뒀다 들통나
▶ 女아나운서 '신혼 아파트' 월세가 무려…
▶ '쿨' 김성수 "잘나갈 때 번 돈 모두" 눈물 고백
▶ 소유진 남편, 연대 나왔는데 17억 빚 떠안고…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