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산학협력' 주도… 美실리콘밸리, 日히타치와 네트워크
![](http://www.hankyung.com/photo/201302/201302035148g_2013020332923.jpg)
3일 KAIST와 포스텍에 따르면 이들 대학의 강성모·김용민 총장은 수십년간 쌓은 해외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글로벌 산학협력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강성모 KAIST 신임 총장(68)은 지난달 31일 열린 임시 이사회에서 새 총장으로 선임됐다. 퇴진하는 서남표 총장의 뒤를 이어 이달 23일부터 4년간 KAIST의 수장을 맡는다. 강 총장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미국 UC머시드 총장을 역임했다.
한국인 최초로 4년제 미국 대학 총장을 지낸 이력이 첫눈에 주목 받았지만, 그는 실리콘밸리에서도 인정받을 만큼 탄탄한 연구력과 글로벌 네트워크의 '내실' 을 갖춘 인물이다.
강 총장은 UC버클리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직후인 1975년 럿거스대 교수로 임용됐다. 이후 AT&T사 벨랩(Bell Lab) 선임연구원을 지낸 것 역시 연구력을 인정받은 결과다. 2000년대 들어 실리콘밸리 공학의회(Silicon Valley Engineering Council) 회장도 역임했다.
서남표 총장은 앞서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시절 경험을 살려 KAIST에 MIT 시스템을 도입하는 데 주력했다. 신임 강 총장은 KIAST에 실리콘밸리 문화를 접목하고 그간의 네트워크를 살려 해외 공동연구와 국제 산학협력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받는다.
김용민 포스텍 총장(60)은 2011년 9월 첫 외부 영입 총장으로 취임했다. 김 총장은 해외 네트워크를 토대로 연구프로젝트 수주, 기술사업화를 이끌 것으로 평가받았다. 학교 재단 이사장인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융합연구를 통해 연구중심대학으로서 포스텍이 지향하는 산학협력모델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달라" 고 주문했다.
특히 융합연구와 산학협력의 적임자로 꼽힌 게 컸다. 그는 30년 가까이 워싱턴대에 재직하며 생명공학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방사선의학 4개 학과 교수를 겸임한 이력의 소유자다. 멀티미디어 비디오 영상처리, 의료진단기기, 의료영상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인정받았다.
지난해 김 총장이 내놓은 16억 원의 '총장 장학금' 역시 그의 국제 네트워크를 보여주는 사례다. 이 장학금의 재원은 그가 일본 히타치(Hitachi)사로부터 12년간 지원받은 연구과제가 끝나면서 남은 연구비였다. 히타치사와 워싱턴대는 연구 책임자인 김 총장의 연구 성과에 감사를 전하며 이를 장학금으로 쓰는 데 합의했다.
포스텍은 이를 계기로 장학금을 받는 학생들로 하여금 공동 융합연구 과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워싱턴대와의 공동연구도 강화하게 됐다. 포스텍 측은 "총장 개인의 연구비로 거액의 장학금을 만든 이례적 케이스" 라며 "한 연구자의 노력으로 한·미·일 3국이 힘을 모아 장학금 결실을 맺은 것이라 더욱 의미 있다" 고 설명했다.
한경닷컴 김봉구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 의사에게 성폭행 당한 女 "기억이 잘…"
▶ 싸이 '13억 저택' 미국에 숨겨뒀다 들통나
▶ 女아나운서 '신혼 아파트' 월세가 무려…
▶ '쿨' 김성수 "잘나갈 때 번 돈 모두" 눈물 고백
▶ 소유진 남편, 연대 나왔는데 17억 빚 떠안고…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