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실비실 우리 아이, 건강하게 ‘쑥쑥’ 키우려면?

입력 2013-02-04 01:24  


[이선영 기자] 옆집 아이는 하루 종일 뛰어놀고도 지친 기색이 없는데, 우리 아이는 늘 피곤해하며 감기까지 달고 산다면? 부모 입장에서는 참으로 속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사람의 기본적인 건강은 태내에서 이루어진다. 태내에서 불안정한 시기를 보낸 태아는 선천적으로 허약아일 수 있다. 태내에서 충실한 발육이 이루어지지 못한 이유다. 반면 후천적 허약아의 경우는 출생 후 여러 가지 병이나 자라는 환경에 의해 건강을 해친 경우다.

일반적으로 허약아들은 성장이 느려 키가 잘 자라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허약증을 정확히 살펴 개선해주어야 건강한 여느 아이들처럼 쑥쑥 클 수 있다. 때문에 한방에서는 허약증을 증상별로 분류하고 이에 따른 개선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소화기가 약한 아이
비위가 약하고 편식을 하며 식욕이 별로 없다. 자주 배가 아프다고 하며 심한 변비와 설사, 미식거림과 울렁증 등도 이에 해당한다. 목이 자주 마르고 건조하기도 하다. 이러한 경우 비위를 건강하게 하는 약물치료를 한다. 배를 항상 따뜻하게 하고 찬 음식을 삼가는 것이 좋다. 향사평위산, 삼령백출산, 소건중탕 등을 처방한다.

호흡기가 약한 아이
폐 기능이 약하다. 감기에 자주 걸리며 발작적인 호흡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편도선염과 인후염증이 자주 나타나며, 알레르기 비염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이런 경우는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약물치료가 중요하다. 또한 알레르기를 겸하고 있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감별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인삼, 길경과 한약을 위주로 치료한다.

정신신경계가 약한 아이
불안 초조 증세를 보인다. 어지럼증, 불면증, 잦은 꿈과 잠꼬대 등도 이에 해당한다. 신경질적이며 기억력 저하를 보이기도 한다. 무엇보다 정신적인 안정이 중요하다. 정신을 안정시켜 주는 가미온담탕으로 약물 치료를 하며 부드러운 음악 감상 등도 도움이 된다.

운동신경계가 약한 아이
체력이 달려 피곤해한다. 팔다리가 허약하며 자주 넘어진다. 부분적인 근육 경련이 일어나기도 하며 무르고 탄력 없는 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는 적당한 운동이 필요하다. 십전대보탕과 팔진탕으로 약물 치료를 한다.

이밖에도 소변에서 거품이 나오는 경우, 편도선이 자주 붓는 경우, 늦은 나이까지 기저귀를 차고 자야 할 정도로 오줌을 못 가리는 경우, 손발이 찬 경우도 허약증에 해당된다.

이러한 허약증은 성장을 방해함은 물론 학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적극적이고 활기찬 성격으로 자라기도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밥을 먹지 않는다고, 혹은 소변을 가리지 못한다고 아이를 다그칠 것이 아니라 정확한 증상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통해 개선해주는 것이 우선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한경닷컴 w스타뉴스 기사제보 life@wstarnews.com

삼성전자, 노트북 ‘크로노스와 울트라’ 시리즈7 선봬…
▶ 2013년 나에게 맞는 중고차 판매 방법은?
▶ 2030 남녀, 술이 가장 필요한 순간은 언제?
▶ 2013년 빨간날 116일, 달력 보고 황금연휴 계획 세워볼까?
▶ 겨울철 감기 예방법 “비타민C가 풍부한 음식을 먹자!”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