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인사가 만사다. 특히 새 정부의 조각(組閣) 인사는 5년 임기의 성패를 좌우할 정도다. 노무현 정부가 코드인사로, 이명박 정부가 보은인사로 여론의 질타를 받았던 선례는 더할 나위 없는 반면교사다. 그런 의미에서 박 당선인이 측근·공신을 배제하고 신중히 고르려는 노력은 충분히 이해할 만하다. 하지만 너무 늦다. 당장 오늘 총리를 지명해도 인사청문회법상 임명동의 기간(20일)을 보장할 수 없다. 각 부처 장관들을 임명하고 청문회를 거치려면 야당이 협조한다 해도 내달로 넘어갈 수밖에 없다. 새 대통령이 상당기간 MB정부의 장관들을 앉혀놓고 국무회의를 주재하는 진풍경이 벌어질 판이다.
새 정부 인사가 꼬인 데는 청문회 공포도 있겠지만 당선인의 인사 스타일도 한 요인이란 시각이 많다. 총리 후보자 낙마도 밀봉인사, 깜깜이인사, 나홀로인사 탓이라는 지적이 전혀 틀렸다고 볼 수 없다. 국민이 불안해 할까 봐 인사 보안에 철저했다는 그만큼 검증은 소홀할 수밖에 없었던 셈이다. 지금 국민이 진짜 불안해하는 것은 설익은 인사설이 아니라 주요 공직에 단 한 명도 임명하지 못하는 현실이다.
당선인의 수첩 속에서 정부 조각 인사가 가능할 수는 없다. 수첩 속 인물들이라야 대개는 당선인과 정치적 인연이 있는 경우로 봐야 할 것이다. 정부 인사는 정당 인사와는 차원이 다르다. 대통령은 경쟁후보를 찍은 국민 48%도 감싸안아야 할 정부를 이끌어가는 자리다. 다소 부담이 있더라도 폭넓게 인재를 구하는 것 외에는 달리 해법이 없다. 야권 인사라고 못 쓸 이유도 없다. 대선 승리 직후 대탕평이라던 화두는 슬그머니 꼬리를 감추고 청문회 통과가 지상과제가 된 현실이 답답하다.
▶ 의사에게 성폭행 당한 女 "기억이 잘…"
▶ 女아나운서 '신혼 아파트' 월세가 무려…
▶ '쿨' 김성수 "잘나갈 때 번 돈 모두" 눈물 고백
▶ 강호동 이제 바닥까지 떨어지나…왜 이래?
▶ 황신혜 "혼전임신은 사실이지만…"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