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 정부와 같이 외교와 통상업무를 합쳐 운영하는 나라는 호주와 캐나다, 뉴질랜드 등이다. 반면 중국은 상무부가 양자 실무무역과 자유무역협정(FTA) 등 각종 통상협상을 총괄하고 있다. 인수위의 조직 개편안에 따라 출범하게 될 산업통상자원부에 가장 가까운 모델이다. 일본은 현안이 생기면 관련 부처들이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대응한다.
인수위의 조직 개편안에 찬성하는 측은 “통상 분야에서 우리의 카운터파트이자 라이벌인 중국과 일본의 사례를 참고해야 한다”고 말한다.
반면 통상교섭 기능을 외교부에 남겨야 한다는 측은 “우리와 경제적 위상이 비슷한 호주, 캐나다 사례를 참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
▶ 의사에게 성폭행 당한 女 "기억이 잘…"
▶ 女아나운서 '신혼 아파트' 월세가 무려…
▶ '쿨' 김성수 "잘나갈 때 번 돈 모두" 눈물 고백
▶ 강호동 이제 바닥까지 떨어지나…왜 이래?
▶ 황신혜 "혼전임신은 사실이지만…"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