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2/2013020821751_2013020814481.jpg)
푸시킨은 1799년 모스크바에서 태어났다. 기숙 귀족학교에 다니던 15세 때 처녀작 ‘친구인 시인에게’를 발표했다. 졸업 후 외무부에서 근무하면서도 그의 관심은 농노제 철폐 등 민중의 삶을 향해 있었다. ‘자유’(1817) ‘마을’(1819) 등의 시가 문제가 돼 1820년 남러시아로 추방됐다. 고독한 유폐생활은 그의 시적 감수성을 풍성하게 했다. 당시 전제정치 반대자들의 모임인 ‘데카브리스트(12월 당원)’와 교류하며 서사시 ‘카프카스의 포로’(1822) ‘집시’(1823) 등의 작품을 잇따라 썼다.
1824년 망명을 실패하고, 이듬해 데카브리스트 반란이 진압된 뒤엔 집필에만 몰두했다.
“내 그대를 사랑했노라…. 그러나 나의 사랑은 그대를 괴롭히지도 방해하지도 않나니…. 내 다만 그대를 사랑했노라.” 푸시킨으로 하여금 이 시를 쓰게 만든 첫사랑 안나 올레리나가 마음을 받아줬더라면 어땠을까. 첫사랑을 가슴에 묻고 사교계에서 이름을 날리던 나탈리아 곤차로바와 1831년 결혼한 푸시킨. 아내와 치정 관계였던 프랑스 출신 귀족 조지 단테스와의 결투 끝에 총상을 입고 눈을 감았다. 1837년 2월10일, 그의 나이 38세였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채리나, 김성수 전처 '살해' 재판 보더니…
▶ 의사에게 성폭행 당한 女 "기억이 잘…"
▶ 女아나운서 '신혼 아파트' 월세가 무려…
▶ 강호동 이제 바닥까지 떨어지나…왜 이래?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