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 사망 보도 당일 코스피는 전일대비 0.34% 상승 마감해 증시에 미친 영향력은 제한적. 다음날 7/11일(월) 장중 -2.11% 하락했다 -0.8%로 낙폭 만회
2) 1차 연평해전 (1999년 6월 15일)
1차 연평해전 발생시 장중 코스피 -3.9% 하락 후 -2.21%(803.72)로 종가에 낙폭 회복 이후 1달 만에 1052.59로 고점을 기록
3) 2차 연평해전 (2002년 6월 29일)
2차 연평해전 발생한 6월 29일(토요일) 이후 7월 2일 시가 -2.71% 하락 출발했지만 이때를 저가로 +0.47%(746.23) 상승 마감. 7월 8일 807까지 상승
4) 1차 북한 핵실험 (2006년 10월 9일)
1차 핵실험 발생시 장중 -3.58% 하락했다가 -2.41%(1,319.40)로 종가에 낙폭을 다소 만회. 이후 1300 초반에서 등락을 거듭하다 5일 이후 충격을 만회하며 한달 뒤 1399.44로 상승
5) 2차 북한 핵실험 (2009년 5월 25일)
2차 핵실험 발생시 장중 -6.31%까지 하락했다가 -0.2%(1400.90)로 낙폭을 대부분 만회. 이후 한 달간 1360~1450사이의 박스권 등락을 거듭하다 3달 뒤 1600선까지 상승
6) 천안함 침몰 (2010년 3월 26일)
천안함 침몰 발생후 시가로 -0.93%까지 하락했다가 -0.34%(1691.99포인트)로 마감. 이후 한 달 뒤 1750선까지 상승
7) 연평도발 침몰 (2010년 11월 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소식이 15시 경 전해진 이후 다음날 시가로 -2.33%까지 하락했다가 -0.34%(1919.99포인트)로 마감. 이후 한 달 뒤 1750선까지 상승
8) 김정일 사망 (2011년 12월 19일)
12시 김정일 사망 소식이 전해지면서 장중 4.86% 급락했다 3.43%로 하락한채로 마감. 한달 뒤 1910선까지 7% 이상 급등. 두달도 되지 않아 2000선 회복.
9) 장거리 로켓 발사-'광명성 3호' 인공위성 추진체라고 주장(2012년 4월 13일)
13일 오전 7시 38분 발사. 0.76% 상승 출발, 장중 1.25% 올랐다가 1.12% 상승 마감.
10) 장거리 로켓 발사(2012년 12월 12일)
12일 오전 9시 51분께 동창리 발사장에서 장거리 로켓 발사. 장중 0.42% 올랐다가 장중 -0.03% 하락세로 돌아섰다가 0.37% 상승 마감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연예계 성스캔들 '술렁'…女배우 누군가 봤더니
▶ 의사에게 성폭행 당한 女 "기억이 잘…"
▶ '티아라' 대기실서 나온 '피임약' 실체 알고보니
▶ 지나, 가슴성형 아니라더니…'화들짝'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