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러시아 프로젝트, 5년 만에 재추진 움직임
![](http://www.hankyung.com/photo/201302/2013021319051_2013021357891.jpg)
윤진식 새누리당 의원과 연해주 국립농업아카데미가 지난 12일 국회에서 주최한 ‘한러 경제협력 세미나’에서는 ‘러시아 연해주 농업경제특구의 가능성과 실천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윤진식 의원 측은 “국제곡물가격이 지난해 급등하면서 해외 식량기지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새 정부 출범을 계기로 양국간 논의가 다시 시작돼야 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연해주 농업특구는 한국과 러시아가 협력해 연해주 한카 호수 부근의 호룰 지역을 농업 기지화하는 사업이다. 사업추진 배경은 1992년까지 거슬러올라간다. 미하일 고르바쵸프 구소련 대통령은 한국이 1990년 국교수립 당시 소련에 빌려준 차관 14억 달러를 연해주 토지로 상계하자고 제안했다. 이병화 국제농업개발원 연구소장은 “연해주는 1930년대 고려인들이 이주해 개간한 역사적인 땅으로 지금은 극동러시아의 중심이 됐다”며 “여의도 600배에 이르는 지역을 국제농업특구로 개발하면 식용콩과 사료작물을 무관세로 국내에 들여올 수 있어 식량자급률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해주는 1990년대부터 국내 기업들의 농업개발 진출이 활발했던 곳이기도 하다. 현재 10여개 기업이 진출해 3만6000ha를 경작 중이다. 서울사료, 현대중공업, 남양 등이 옥수수와 콩, 조사료 등을 재배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 신중한 입장이다. 겨울이 긴 현지 특성상 경제성을 높이기 쉽지 않다는 게 큰 문제다. 김용학 가천대 교수는 “해당 지역은 전력 등 각종 사회간접자본과 농업 인프라도 부족해 추가적인 비용이 투입될 수 있다”며 “러시아의 법 체제와 정치 환경 속에서 특구가 성공적으로 운영될지 여부도 불확실하다”고 지적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연예계 성스캔들 '술렁'…女배우 누군가 봤더니
▶ 의사에게 성폭행 당한 女 "기억이 잘…"
▶ '티아라' 대기실서 나온 '피임약' 실체 알고보니
▶ 소유진 남편, 700억 매출 이젠 어쩌나? '쇼크'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