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금융사에 떠넘겨…채권단 반발
![](http://www.hankyung.com/photo/201302/2013021465551_2013021481201.jpg)
이에 따라 금융위원회는 출자 비율에 따라 지분을 배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기금 출자 비율은 정부가 86%고, 금융사가 14%다. 그런데 금융위원회가 최근 정부 몫인 쌍용건설 지분의 85.95%를 하나은행 등 기금 출연 금융사에 떠넘기려 하자 채권은행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이렇게 될 경우 쌍용건설 최대주주는 일단 예금보험공사 산하 자회사인 케이알앤씨가 될 것으로 보인다. 케이알앤씨가 부실채권정리기금에 대한 출연 비율이 3.99%로 채권단 중 가장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식 감자와 함께 출자전환이 이뤄진다면 1000억원어치 이상의 채권을 보유한 우리은행이나 신한은행이 대주주가 될 가능성도 있다.
이 같은 움직임에 채권은행들은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정부와 캠코가 지난해 말 채권은행이 쌍용건설에 1300억원의 신규 자금을 지원해주면 유상증자 후 우선 상환해주겠다고 약속했다”며 “캠코가 지금 와서 빠지고 뒷수습은 민간 금융회사들이 떠맡으라는 소리냐”고 반발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정권 말이라 정부도 발을 뺀 것 아니냐”며 “캠코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서 결정할 문제라고 떠넘기고, 공자위는 캠코가 처리해야 할 문제라고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으로 쌍용건설의 운명은 채권단이 ‘지원을 통한 회생 가능성’을 어떻게 보느냐에 달려 있다. 채권은행들은 캠코가 빠진 상태에서의 유상증자에 회의적인 분위기다.
한 채권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말 채권단이 지원한 1300억원도 벌써 흔적 없이 사라졌다”며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을 통한 출자전환 및 신규 자금 지원은 논의해봐야겠지만 쌍용건설이 회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야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한 투자은행(IB) 관계자는 “인수 후보자들은 일단 쌍용건설 관련 악재가 지나간 뒤 인수하길 원한다”며 “워크아웃이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이후 인수하려는 움직임도 있다”고 전했다.
장창민/이현일 기자 cmjang@hankyung.com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연예계 성스캔들 '술렁'…女배우 누군가 봤더니
▶ 의사에게 성폭행 당한 女 "기억이 잘…"
▶ 女아이돌, 팬미팅 도중 난투극 벌여 '아찔'
▶ 소유진 남편, 700억 매출 이젠 어쩌나? '쇼크'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