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아웃 3년만에…한일건설, 법정관리 신청

입력 2013-02-15 17:18   수정 2013-02-15 22:19

주택시장 장기불황 여파로
중견건설사 부도공포 확산



건설업계 시공능력순위 49위의 중견 건설사인 한일건설이 15일 워크아웃(재무구조개선작업) 3년여 만에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이로 인해 중견 건설사들의 부도공포가 다시 확산되는 분위기다. 대한건설협회 관계자는 “부동산시장 장기침체로 생존에 한계를 느끼는 건설사들이 올해는 많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한일건설은 이날 임시 주주총회에서 법정관리를 결정, 서울중앙지방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고 발표했다. 법원이 한일건설의 존속가치가 청산가치보다 크다고 결정하면 기업회생절차를 개시하게 된다.

한일건설의 1대주주(50.5%)는 한일시멘트다. 국민은행 등 채권단과 한일시멘트는 채권단 출자전환과 대주주 유상증자, 현물출자 등을 지속적으로 논의해 왔지만 합의에 실패했다.

1978년 설립된 한일건설은 국내 토목 건축 주택과 해외 개발사업을 진행하며 외형을 키워왔다. 2000년대 중반 펼친 캄보디아 등 해외 사업의 부진으로 2010년 유동성 위기를 겪으며 워크아웃에 들어갔다.

한일건설은 국내주택 미분양에 따른 대손충당금으로 지난해 2988억원의 손실이 발생해 자본금 1811억원이 모두 잠식된 상태다. 이에 따라 한국거래소는 지난 5일 한일건설의 주식거래를 전면 중단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채무(지급보증)는 4448억원이다.

한일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더라도 피해를 보는 개별 주택 구매자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회사는 2009년 3월 제주 이동2지구에서 ‘한일 베라채’를 분양한 뒤 아파트 신규 사업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다만 지방에 일부 미분양 물량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건설업계에서는 워크아웃 중인 건설사와 주택 미분양이 많은 건설사들이 추가로 법정관리행을 택할 수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가 5년 이상 침체된 상황에서 더 이상 버티기 힘든 건설사들이 손을 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연예인 맞는다는 '비타민주사' 효과가…깜짝

▶ 연예계 성스캔들 '술렁'…女배우 누군가 봤더니

▶ 의사에게 성폭행 당한 女 "기억이 잘…"

▶ 소유진 남편, 700억 매출 이젠 어쩌나? '쇼크'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