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발 비난 끝에 다시 출자총액 규제에 직면하고 있는 한국 재벌과 비교해도 더하면 더했지 결코 모자라지 않는다. 실제 국내 10대 재벌이 영위하는 업종을 모두 더하면 56개다. 벅셔해서웨이 한 회사가 영위하는 업종 수와 거의 비슷하다. 그렇지만 미국에서는 워런 버핏의 이런 기업 확장을 비난하는 목소리는 찾아보기 힘들다. 적법하다면 어떤 기업 활동이든, 남이 왈가왈부할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라면 어땠을까. 우선 출자총액규제, 금산분리 등으로 벅셔해서웨이 같은 보험사가 저렇게 많은 일반사업 기업을 자회사로 거느리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보험사는 사업 자회사를 가질 수 없도록 원천 금지하자는 것이 지금 경제민주화 규제항목에도 들어가 있다. 그린필드 창업도 아닌 M&A로 사업을 확장했으니 일자리 창출과는 무관한, 탐욕스런 기업인이란 낙인이 따라 다닐 것이다. 사실 벅셔해서웨이가 영위하는 업종의 상당수가 우리나라로 치면 중기적합업종들이다. 하인즈 케첩은 풀무원 두부와 하등 다를 것이 없고 동네 빵집과 다를 것이 없는 시즈 캔디 등도 마찬가지다.
미국에 중기적합업종이 있었다면 지금의 하인즈도 벅셔헤서웨이도 존재할 수 없다. 워런 버핏은 한국에서 꽤나 인기가 높다. 억만장자이면서 부자 증세를 얘기하고 기부에도 앞장선다는 이유에서다. 왜 한국에는 이런 기업인이 없느냐는 푸념도 한다. 하지만 그런 기업인이 못 나오게 막는 중기적합업종 같은 규제를 탓하는 이는 드물다. 버핏의 문어발 확장에 유독 함구하는 것도 특이하다. 실로 이중잣대다.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연예인 맞는다는 '비타민주사' 효과가…깜짝
▶ 연예계 성스캔들 '술렁'…女배우 누군가 봤더니
▶ 의사에게 성폭행 당한 女 "기억이 잘…"
▶ 소유진 남편, 700억 매출 이젠 어쩌나? '쇼크'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