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산 위기에 몰린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주주들이 추진하던 3073억원의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발행이 무산될 전망이다.
코레일은 지난 18일 경영전략위원회에서 ABCP 발행에 대한 반환확약서(담보) 제공 안건을 논의한 결과 위원 19명 전원이 반대해 불가 결정을 내렸다고 19일 발표했다.
코레일이 반환확약에 동의하지 않으면 ABCP를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없다. 앞서 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는 지난 7일 이사회에서 사업무산 시 토지주(용산철도차량기지)인 코레일이 돌려줘야 할 토지대금 등 청산자금 3073억원을 담보로 한 ABCP 발행안을 통과시켰다.
코레일은 ABCP 반환확약 안건을 오는 21일 이사회에서 최종 확정할 방침이지만 통과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자금조달 방안인 전환사채(CB) 2500억원 발행 역시 출자사들의 참여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다. 코레일은 드림허브 지분에 따라 다른 민간 출자사들이 CB인수에 참여할 경우에만 지분율(25%) 만큼인 CB 625억원을 인수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당초 운영자금 고갈로 다음달을 넘기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됐던 드림허브는 국가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승소해 오는 6월 초까지는 파산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 판결로 드림허브는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 대지 일부를 무단 사용한 국가(우정사업본부)로부터 약 440억원 가량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코레일 관계자는 “드림허브가 승소액을 가집행하면 다음달 12일 금융이자 59억원을 낸 뒤 상반기까지는 버틸 수 있을 것”이라며 “민간 출자사들이 CB 2500억원 인수 등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 女고생 학교 앞 모텔에 들어가 하는 말이…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연예계 성스캔들 '술렁'…女배우 누군가 봤더니
▶ 비아그라의 '굴욕'…20~30대 젊은男 요즘은
▶ 소유진 남편, 700억 매출 이젠 어쩌나? '쇼크'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