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2/2013022015311_2013022057571.jpg)
교육과학기술부는 김진수 서울대 화학부 교수(사진)와 바이오업체 툴젠의 김석중 연구소장 공동 연구팀이 인간 유전자의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해 절단할 수 있는 분해효소인 유전자 가위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20일 발표했다.
유전자 가위는 A(아데닌), G(구아닌), C(시토신), T(티민) 등 DNA의 4개 염기 서열 중 특정 서열을 인식해 절단하는 분해효소다. 기능을 알고 싶은 유전자 서열만 남기고 다른 부위를 잘라낸 뒤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할 때 주로 사용한다.
인간게놈프로젝트 결과 2만여개의 인간 유전자 염기서열이 확인됐으나 질병 진단 및 치료를 위해 각각의 기능을 규명하려면 이 같은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표적서열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나머지 유전자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원하는 특정 유전자에만 작용하는 유전자가위를 개발했다. 또 조립식으로 한번에 여러 개의 유전자가위를 만드는 방법을 개발, 대량생산의 길도 열었다.
김진수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유전자 가위는 인간 유전자의 기능 및 질병 원인을 연구하는 핵심 소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생명공학 분야 권위지인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실렸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女고생 학교 앞 모텔에 들어가 하는 말이…
▶ '미용실 女 보조' 심각한 현실…"이 정도였다니"
▶ 연예계 성스캔들 '술렁'…女배우 누군가 봤더니
▶ 소유진 남편, 700억 매출 이젠 어쩌나? '쇼크'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