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현상은 아무래도 불안하다는 심리를 반영한다고 봐야 할 것이다. 새 정부가 GDP의 최대 24%로 추정되는 지하경제 양성화를 통한 세수 확대를 강조하고 있는 것과 관련이 깊다는 얘기다. 이미 금융소득 종합과세 기준이 2000만원 이상으로 확대됐고, 탈루 증여에 대한 세무당국의 감시 눈초리도 매섭다. 금융정보분석원(FIU)의 금융거래 정보를 국세청에 넘기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지하경제 큰손들의 현금을 양지로 끌어내기 위해 화폐개혁 또는 리디노미네이션(화폐 액면단위 절하)을 단행할지도 모른다는 루머까지 나돈다. 물론 근거는 없지만 이런 소문 자체가 큰손들의 불안심리를 보여준다.
금고가 잘 팔리고 달러 사재기가 일어나는 게 새삼스런 일은 아니다. 정권 교체기마다 큰손들은 중과세나 세원 노출을 피해 현금을 찾는 경향이 강하다. 불확실성이 싫은 것이다. 5만원권 덕에 현찰 보관은 훨씬 편리해졌다. 큰손은 숨고 당국은 숨은 돈을 찾아내는 숨바꼭질이 한층 치열해질 것이다.
새 정부가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세수 극대화를 어떻게 달성할지에 대한 해법도 이런 맥락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무조건 틀어막고 때려잡겠다는 식의 규제만능주의는 먹히지 않는다. 도덕적으로 비난한다고 해결될 문제도 아니다. 옥죄면 옥죌수록 더 빠져나가고 숨는 게 돈의 생리요, 인간의 본성이다. 정책의 불확실성부터 없애는 게 급선무다. 화폐개혁 같은 뜬소문은 미연에 차단할 필요도 있다. 무엇보다 경제주체들이 감내할 수 있는 세제와 세무행정을 확립해 비용과 위험이 따르는 조세회피보다는 자진납세가 낫다는 인식을 심어줘야 한다. 나그네의 외투를 벗긴 것은 비바람이 아니다.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女고생 학교 앞 모텔에 들어가 하는 말이…
▶ NRG '노유민' 커피전문점 오픈 6개월 만에
▶ 배기성, 음식 사업망하고 '폭탄 고백'
▶ 소유진 남편, 700억 매출 이젠 어쩌나? '쇼크'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