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은 24일 '정부별 주요 경제지표 추이-한국 경제의 명(明)과 암(暗)'이란 보고서에서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부의 국가경쟁력·성장·고용˛소득분배 지표를 분석·발표했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이 발표한 한국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김영삼 정부(1993~1997년) 당시 29위였다. 김대중 정부(1998~2002년), 노무현 정부(2003~2007년) 때 32위로 밀려났다가 이명박 정부(2008~2012년)에 다시 25위로 올라섰다.
국제투명성기구가 발표하는 부패지수는 4.5→4.1→4.8→5.4로 개선됐다. 이 지수는 10점 만점으로 높을수록 부패 정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같은 기간 국가 신용등급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기준 'B+'에서 'A+'로 9계단 상승했다.
반면 경제성장세는 갈수록 꺾였다.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김영삼 정부 당시 평균 7.4%였다. 이후 △김대중 정부(4.8%) △노무현 정부(4.3%) △이명박 정부(2.9%)로 크게 낮아졌다. 잠재성장률 역시 평균 6.8%→5.2%→4.3%→3.6%로 50%가량 감소했다.
국민소득은 김영삼·김대중 정부 때의 1만 달러 초반에서 노무현 정부 때 2만1632달러로 크게 증가했지만, 이명박 정부에선 2만2489달러로 소폭 늘어나는데 그쳤다.
김영삼 정부 당시 75.1%에 달했던 중산층 비중은 70.2%(김대중 정부), 69.3%(노무현 정부)에 이어 67.1%(이명박 정부)로 줄었다. 같은 기간 빈곤층 비중은 7.8%→10.3%→11.7%→12.6%로 확대했다. 소득분배 수준을 나타내는 '지니계수'도 0.251→0.279→0.281→0.292로 나빠졌다.
고용률은 외환위기를 맞은 김대중 정부(61.1%)를 제외하면 모든 정권에서 63%대였다. 그러나 청년 고용률은 45.7%(김영삼 정부)에서 40.6%(이명박 정부)로 후퇴했다.
GDP 대비 복지지출 비율은 김영삼 정부 3.3%, 김대중 정부 5.3%, 노무현 정부 6.6%, 이명박 정부 9.5%로 점점 높아졌다.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도 10.2%→17.6%→27.3%→32.4%로 상승했다.
이준협 현대경제원 연구위원은 "새 정부는 경제 활력을 되찾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 며 "잠재성장률 목표치를 수립해 달성하고, 특단의 경기활성화 대책을 내놓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open@hankyung.com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女고생 학교 앞 모텔에 들어가 하는 말이…
▶ NRG '노유민' 커피전문점 오픈 6개월 만에
▶ 배기성, 음식 사업망하고 '폭탄 고백'
▶ 소유진 남편, 700억 매출 이젠 어쩌나? '쇼크'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