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세 상인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한 대형마트 영업 제한이 오히려 득보다 실이 더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경제학 공동학술대회에서 정진욱·최윤정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가 발표한 논문 ‘대형소매점 영업제한의 경제적 효과’를 보면 영업 제한으로 인한 대형마트의 소비액 감소가 월 평균 2307억원으로 추정됐다. 연간으로 환산하면 2조7678억원에 달했다.
반면 대형마트에서 줄어든 소비가 재래시장과 소형 슈퍼마켓으로 흘러들어간 소비 전환액은 월 평균 448억~515억원에 그쳤다. 또 소비자의 쇼핑 시간과 장소 선택이 제약됨에 따른 소비자 후생 감소분은 월평균 1907억원으로 평가됐다.
이 밖에 대형마트 매출 감소와 재래시장·소형 슈퍼마켓의 매출 증대에 따른 순세수증감분 등을 모두 포함, 대형마트 강제 휴무에 따른 사회적 득실을 총괄하면 한 달에 최대 5815억원의 손실이 났다는 분석이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女고생 학교 앞 모텔에 들어가 하는 말이…
▶ NRG '노유민' 커피전문점 오픈 6개월 만에
▶ 배기성, 음식 사업망하고 '폭탄 고백'
▶ 소유진 남편, 700억 매출 이젠 어쩌나? '쇼크'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