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할 확률은 4명 중 1명 꼴
![](http://www.hankyung.com/photo/201302/2013022711161_2013022754331.jpg)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0~2010년 혼인상태 생명표’에 따르면 2010년 출생한 남자아이가 평생 살면서 결혼을 한 번 이상 할 확률은 79.1%였다. 나머지 20.9%는 미혼인 상태로 생을 마감할 가능성이 높았다. 2000년 태어난 사람이 미혼으로 사망할 확률 15.1%보다 5.8%포인트 오른 것이다.
같은 해 태어난 여자는 84.9%가 평생 동안 결혼을 경험하고, 15.1%는 미혼으로 사망할 것으로 추정됐다. 여자 역시 10년 전보다 미혼 사망률이 6.0%포인트 높아졌다. 이재원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여성의 사회 참여가 늘어나면서 결혼 연령이 늦어지고, 독신으로 남는 비중도 커졌다”며 “선진국과 비슷한 추세”라고 설명했다.
결혼이 이혼으로 끝날 확률은 남자는 25.1%, 여자는 24.7%였다. 2000년 기준보다 남자는 2.4%포인트, 여자는 2.7%포인트 높아졌다. 배우자와 사별할 확률은 남자가 17.3%, 여자는 61.7%로 여자가 훨씬 높았다. 여자의 기대수명이 길기 때문이다. 2010년 출생한 사람의 평균 미혼기간은 남자는 39.9년, 여자는 36.3년이었다. 배우자와 같이 사는 기간은 남자는 32.7년, 여자는 33.9년으로 집계됐다. 평균 미혼기간은 10년 전보다 남자는 5.3년, 여자는 5.2년 늘어났다.
초혼자의 평균 연령은 남자 33.3세, 여자 30.1세였다. 10년 전보다 각각 1.7세, 1.6세 올라갔다. 이혼한 이들이 재혼할 확률은 남자가 58.1%, 여자는 56.1%로 나타났다. 2000년보다 각각 12.8%포인트, 8.9%포인트 감소했다.
이번 자료는 최근 혼인상태 변화 자료를 생명표에 적용해 산출했다. 올해 혼인상태 변동률이 지속된다고 가정하고 해당 연도에 출생한 어린이가 경험할 혼인상태를 추정한 것이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
▶ 女비서 "사장님 몸종 노릇에…" 눈물 고백
▶ 싸이, 대통령 취임식 '돌출발언' 깜짝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은지원 이 정도였어? 朴 취임식때…
▶ 女고생 학교 앞 모텔에 들어가 하는 말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