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우선 정치력 부재로 국정차질이 장기화하는 상황에 대해 허심탄회한 사과를 한 뒤 여야 이견의 핵심 쟁점인 미래창조과학부 신설과 관련한 취지와 목적을 국민들에게 직접 설명하며 진정성을 호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창조경제 실현을 통해 미래 일자리와 먹거리를 창출하기 위해 미래부로의 방송진흥 기능 이관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할 전망이다.
박 대통령은 또 야당의 '언론장악' 우려를 불식시키면서 이 문제가 야당과 협상에서 양보할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하는 동시에 마지막까지 국회를 존중하고 대화와 타협으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도 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경닷컴 뉴스팀 open@hankyung.com
▶ 女교수, 딸에게 '콘돔' 주면서 하는 말이
▶ '아빠 어디가' 출연 한 번에 2억5천만원 횡재
▶ 女비서 "사장님 몸종 노릇에…" 눈물 고백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女고생 학교 앞 모텔에 들어가 하는 말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