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내기 증후군’ 주의, 아이 키 성장 방해할 수도…

입력 2013-03-08 08:40  


[이선영 기자] 새로운 학년이 시작되는 3월이다. 벌써 대형마트나 백화점의 새내기들을 위한 코너에는 학부모와 아이들이 북적이고 있다. 또한 이 시기는 처음으로 부모와 떨어져 단체생활을 시작하는 아이들의 건강을 미리 준비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유치원이나 학교라는 새로운 환경에 접하면 다양한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단체생활을 하면서 감기와 같은 감염성 질환에 자주 걸리거나 스트레스로 인해 잘 성장하지 못하고 정서적으로도 불안정한 증상들이 자주 나타나는 것을 ‘새내기 증후군’이라 한다.

뿐만 아니라 아이들은 감기에 자주 걸리면서 비염, 축농증, 중이염 등과 같은 질환을 동반하기도 한다. 스트레스로 인한 복통과 식욕저하, 정서불안, 짜증 등을 보이기도 한다.

성장클리닉전문 한의원 하이키 인천점 이석준 원장은 “새 학기가 시작되면 대부분의 아이들이 친구관계나 학업 등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된다”며 “새내기증후군으로 생기는 질환들과 스트레스는 키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므로 주의해야한다”라고 조언했다.

새내기증후군으로 인한 스트레스, 성조숙증 유발

스트레스는 성조숙증의 한 원인이 된다. 또 새 학년이 시작되면서 학교, 학원을 다니게 되면 식사나 간식을 인스턴트 음식으로 대충 때우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이러한 생활습관이 성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키고 스트레스가 뇌를 자극해 성조숙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성조숙증이란 사춘기 징후가 여아는 8세 이전, 남아는 9세 이전에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여아가 키는 작은데 가슴에 멍울이 생기거나 통증, 음모 발달, 겨드랑이 털, 냉대하가 생기면 성조숙증이다. 남아는 고환이 커지거나 음경이 발달하고 몽정을 하거나 음모가 생긴다.

성조숙증의 가장 큰 문제는 성장판이 빨리 닫혀 최종 키가 작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여아의 경우 성인이 되었을 때 유방암이나 조기폐경이 나타날 확률이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이성적인 발달이 되기 전에 몸이 먼저 성숙해 각종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한방에서는 체형별로 성조숙증 치료, 키 성장 돕는다

여자아이의 성조숙증은 체형별로 치료해야 효과적이다. 뚱뚱한 아이는 감비조경 요법을 사용하는데 율무와 인진쑥, 강황과 같은 콜레스테롤이나 지방 분해를 도와주는 효과가 있는 약재를 위주로 치료해 살을 빼면서 여성호르몬을 낮춘다.

반면 마른 아이는 열을 풀어주는 지모, 황백, 형개와 같은 약재를 이용한 청열조경 요법으로 치료한다. 이 치료법은 머리 부위의 열을 가라앉혀 주는 효과가 있어 호르몬 교란을 바로잡아 여성호르몬 분비를 정상으로 만들어 준다.

실제로 두 요법으로 치료 후 비만그룹은 성장호르몬 IGF-1이 290.5ng/㎖에서 373.5ng/㎖로 29.4%가 증가했고, 마른그룹은 24.7% 증가해서 키는 연평균 7.2㎝가 자라면서 여성호르몬의 진행이 억제되어 빠른 사춘기를 정상으로 되돌릴 수 있었다.

또 초등학교에 처음 입학하는 아이들은 엄마와 떨어지기 싫어하는 분리불안이 나타난다. 하지만 이러한 새내기증후군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면 잠을 잘 못자거나 식욕저하로 성호르몬이 증가해 성조숙증 발생률이 높아져 키가 안 크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인스턴트식품이나 패스트푸드, 찬 음식, 심한 편식 등도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주된 요인이 되므로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인스턴트식품이나 패스트푸드의 첨가제를 배설하기 위해 아이들의 몸 안에서는 여러 해독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음식들을 먹으면 칼로리 섭취는 많아져도 미네랄이나 양질의 영양소는 많이 소모되는데, 이 경우 몸 안에 토폐물이 많아지면서 면역력도 떨어지게 된다.

반면 새내기증후군을 예방하면 키도 크고 육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다. 때문에 아이에게 환경적, 정서적으로 어떤 변화가 오던지 충분히 변화에 대해 적응할 수 있는 면역력을 향상시켜주고 정서적 육체적 기초 건강을 키워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평소에 아이의 기초건강을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가 잘 먹고 잘 자고 화장실에 잘 가고 잘 노는지 확인해서 기초적인 건강상태가 좋도록 해주어야 한다. 인스턴트와 패스트푸드, 밀가루 음식 등을 피하는 식습관도 길러줘야 한다.

이 밖에도 게임이나 TV시청을 줄이고 즐거운 육체적 활동을 하게 해야 밥도 잘 먹고 제 시간에 잘 자게 돼 면역력이 높아진다.

한경닷컴 w스타뉴스 기사제보 life@wstarnews.com

▶ 직장인이 뽑은 가장 찌질한 상사 1위
2013년 나에게 맞는 중고차 판매 방법은?
▶ 男女 대학생, 이성의 첫인상 결정 요소는 ‘얼굴’
▶ 2030 시티족 생활가전 트렌드 “스마트한 것이 필요해”

▶ 에이수스, 터치스크린 울트라북 ‘비보북 시리즈’ 추가 3종 출시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