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 30% "주택시장 이미 바닥 찍었다"

입력 2013-03-10 09:37  

네티즌 10명 중에 3명은 주택시장이 바닥을 찍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가 회원 334명을 대상으로 3월 4일~8일까지 5일간 ‘박근혜정부에 바라는 부동산 정책’에 대한 이메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주택시장의 저점(바닥)을 묻는 질문에는 30.54%가 ‘이미 바닥을 찍었다’고 답했으며, 18.56%가 ‘2014년 이후’를 선택했다.

실수요자가 내집마련을 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로는 ‘2013년 2분기(4~6월)’가 32.93%로 1위를 차지했다. ‘2014년 이후’가 22.16%, ‘2013년 3분기(7~9월)’는 16.47% 순이었다.

2013년 집값에 대한 전망은 ‘보합세’가 31.74%로 가장 높았으며, ‘소폭(2% 미만) 오른다’가 19.76%, ‘소폭(2% 미만) 하락한다’가 14.97%로 나타났다. 올해 부동산 시장의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박근혜정부에서 가장 투자가치가 있는 부동산 상품을 묻는 질문에는 ‘기존아파트’가 32.63%, 토지가 13.47%로 각각 1,2위를 차지했다.

박근혜정부에서 가장 먼저 시행해야 할 부동산 대책 공약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라는 응답이 28.14%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하우스푸어 대책’이 20.06%, ‘분양가 상한제 폐지’가 11.38% 순이었다.

박근혜정부의 가장 바람직한 부동산 대책 방향을 묻는 질문에는 ‘단발성 아닌 종합적인 대책’에 대한 답변이 35.93%, 다음으로는 ‘호황기 때 규제정책 대폭 폐지’가 23.65%이다. 주택시장 거래 활성화에 가장 시급한 대책은 ‘DTI, LTV 등 주택담보대출규제 완화’가 27.84%로 1위를 차지했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가 25.75%로 2위, ‘취득세 감면혜택 연장’이 20.36%로 3위에 꼽혔다.

실수요자의 내집마련을 위한 가장 시급한 대책을 묻는 질문에서도 ‘DTI, LTV 등 주택담보대출규제 완화’가 37.13%로 1위에 선정됐다. 그 뒤를 이어 ‘취득세 감면 연장’(33.53%), ‘금리 인하’(12.28%) 등이었다.

지속되는 전세난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대책으로는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가 22.75%로 가장 많았다.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금 대출 확대’가 21.26%, ‘전용 85㎡이하 중소형 주택공급 확대’ 19.16% 순으로 조사됐다.

안소형 닥터아파트 리서치연구소 팀장은 "박근혜정부에 대해 네티즌들은 하루빨리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이 나오길 기다리고 있다"며 "대출규제와 완화, 세제 완화 등 현실적인 대책이 나와야 주택시장을 정상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김하나 기자 han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한경 스타워즈] 대회 개막 1달만에 7000만원 수익! 비결은?


▶ 개그우먼 배연정, '국밥' 팔아 하루 버는 돈이

▶ 이경규 딸, 라면 CF서 '폭풍 미모` 뽐내더니

▶ "야동 못 끊는 남편 어쩌죠" 女교수 대답이…

▶ '아빠 어디가' 출연 한 번에 2억5천만원 횡재

▶ 女비서 "사장님 몸종 노릇에…" 눈물 고백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