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연금방식 수령 1.3% 그쳐
![](http://www.hankyung.com/photo/201303/2013031088541_2013031087831.jpg)
10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올 1월 퇴직급여를 수령한 사람 2만8859명 가운데 연금 방식을 선택한 사람은 1.3%(389명)에 그쳤다. 작년 1월(0.9%)보다는 소폭 늘었지만 여전히 일시금으로 받은 사람이 압도적이었다. 퇴직자들은 퇴직금을 일단 은행이나 증권사 등의 IRP 계좌에 예치해야 하는데, 대부분이 이 계좌에서 한꺼번에 찾아 사업자금 가족증여 등의 목적으로 썼다는 설명이다.
박홍민 삼성생명 퇴직연금연구소장은 “은퇴 이후엔 판단력이 흐려지고 금융정보에도 둔감해지기 때문에 퇴직금을 한꺼번에 찾으면 금방 바닥날 수 있다”며 “미국 영국 등 선진국에선 우리와 반대로 대다수 퇴직자들이 연금수령 방식을 선택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도 지난달 중순 시행된 세법 개정안을 통해 장기 연금수령 방식을 유도하고 있다. 종전까지는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으면 금액에 관계없이 약 3%의 실효세율이 매겨졌지만, 이 세율이 최고 7%로 높아졌다.
예를 들어 10년간 연평균 1억2000만원의 급여를 받아 1억원의 퇴직급여를 받게 된 사람이 부담해야 할 세금은 종전 336만원에서 534만원으로 59% 늘어나게 됐다. 다만 작년까지 누적된 퇴직금에 대해선 종전 규정이 적용된다.
퇴직금을 IRP 계좌 등에 넣고 10년 이상 장기간 수령하면 세금이 줄어든다. 연금소득세의 원천징수 세율은 종전(5%)과 같지만 종신수령 방식을 선택하거나 나이가 많아지면 최저 3%만 적용한다.
권도형 한국은퇴설계연구소 대표는 “은퇴 이후엔 퇴직 전 월평균 소득의 70% 정도가 꾸준히 나올 수 있도록 재무계획을 짜는 게 중요하다”며 “퇴직연금 없이 국민연금이나 개인연금만 갖고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한경 스타워즈] 대회 개막 1달만에 7000만원 수익! 비결은?
▶ 개그우먼 배연정, '국밥' 팔아 하루 버는 돈이
▶ 이경규 딸, 라면 CF서 '폭풍 미모` 뽐내더니
▶ "야동 못 끊는 남편 어쩌죠" 女교수 대답이…
▶ '아빠 어디가' 출연 한 번에 2억5천만원 횡재
▶ 女비서 "사장님 몸종 노릇에…" 눈물 고백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