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3/2013031119051_2013031198801.jpg)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LP호가제한 제도가 시행된 작년 3월12일부터 지난 8일까지 약 1년간 ELW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976억원으로 규제 이전 1년 하루 평균 거래대금(1조1460억원) 대비 91.48% 급감했다. 거래량도 81.67% 줄었다. 상장 종목 수는 작년 3월11일 5725개에서 현재 4891개로 감소했다.
금융위와 거래소는 작년 3월12일 ELW 스캘퍼(초단타매매자)들이 LP가 매수·매도 호가를 제시하기 전에 자신에게 유리한 호가를 내 이익을 취하는 것을 막기 위해 LP호가제한 제도를 시행했다. LP의 매수·매도호가 스프레드를 8~15%로 벌리고 시장의 스프레드(매수·매도호가 차이)가 15% 미만인 경우 아예 호가 제출을 금지하는 내용이었다.
LP의 영향력이 제한되자 스캘퍼 간 거래가 대다수로 추정되는 개인 간 거래 비중은 2011년 8.6%에서 2012년 11.9%로 3.2%포인트 늘었다. 호가제한의 예외 구간인 75원 이하 저가 주식ELW 종목의 거래 비중은 34.6%로 규제 이전인 2011년(5%) 대비 30%포인트 급증했다.
ELW 규제가 증권사의 ELS 발행 위축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LS 발행사는 헤지를 위해 장외에서 옵션을 매도하고 ELW 발행사는 이 옵션을 매수해 헤지를 한다. ELW 발행이 줄자 ELS 발행사의 옵션 매도를 받아줄 주체가 줄었다.
한 증권사 ELW 관계자는 “스캘퍼를 없애고자 규제를 도입했지만 지금도 5~6개팀이 활동 중”이라며 “LP호가 스프레드를 정률(8~15%)로 제한하는 것보단 정액(10원)으로 제한하는 게 스캘퍼의 시장 진입을 막는 효과가 크다”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위 관계자는 “ELW 정책 변화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한경 스타워즈] 대회 개막 1달만에 7000만원 수익! 비결은?
▶한국경제의 알찬기사를 매일 만나는 방법-MY뉴스 설정!!
▶ "이효리 제주도에 신혼집 마련" 알아보니
▶ 개그우먼 배연정, '국밥' 팔아 하루 버는 돈이
▶ 이경규 딸, 라면 CF서 '폭풍 미모` 뽐내더니
▶ "야동 못 끊는 남편 어쩌죠" 女교수 대답이…
▶ '아빠 어디가' 출연 한 번에 2억5천만원 횡재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