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물갈이 예고가 초미의 관심인 것은 정부가 영향을 미치는 공공기관의 장(長)·감사·임원 등의 자리가 6000여곳에 이르기 때문이다. 공기업 30곳, 준정부기관 87곳, 기타공공기관 178곳 등 295곳은 청와대가 인사권을 쥐고 있다. 역대 정권마다 이런 자리가 ‘정권 전리품’으로 인식돼 공신들의 논공행상이나 관료·정치권의 낙하산 시비가 끊이지 않았다. 특히 잘 드러나지도 않고 인사검증도 거의 없는 준정부기관과 기타 공공기관은 최적의 낙하산 투하지로 이용돼 온 게 사실이다.
미국에서도 대통령이 바뀌면 전임 정권의 공직자가 물러나고 텍사스사단(부시) 시카고사단(오바마) 등의 말을 들으며 선거 공신들이 2만여 자리를 새로 채운다. 박 대통령이 전문성과 국정철학의 공유를 인선 원칙으로 내건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공공기관의 주인인 국민이 선거를 통해 정권에 권한을 위임했기에 대통령에게 신임을 새로 묻는 게 자연스럽다. 국민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에서 기관장 임기는 임명권자의 임기 내에서의 보장이지 대통령 임기를 넘어서는 것은 아니다.
그동안 공공기관장 인선은 공모절차를 거친다지만, 실상은 공모라는 명분 아래 관료 정치인 등 대리인들이 문전옥답처럼 관리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니 능력도 경험도 없으면서 청와대나 정치권에 줄을 대 자리를 꿰차기 일쑤였다. 이런 낙하산 폐습은 이제 사라져야 마땅하다. 그러나 정권이 바뀌면 한국은행 등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모두 새로 신임을 묻는 것이 맞다. 물론 이번 경우는 여야 간 정권 교체가 아니기 때문에 능력과 자질에 따른 엄정한 선별이 있지 않겠는가.
▶ "이효리 제주도에 신혼집 마련" 알아보니
▶ 女대생, 男선배 앞에서 '애교'떨다 그만
▶ 개그우먼 배연정, '국밥' 팔아 하루 버는 돈이
▶ 이경규 딸, 라면 CF서 '폭풍 미모` 뽐내더니
▶ "야동 못 끊는 남편 어쩌죠" 女교수 대답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