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3/2013031426241_2013031445971.jpg)
코레일은 15일 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PFV) 이사회와 30개 주주사 대표가 모두 참여하는 대책회의를 잇따라 열고 정상화 방안을 논의한다. 주주사 대책회의에는 정창영 코레일 사장과 김기병 롯데관광개발 회장 등 주요 주주사 대표들도 참석한다.
코레일은 일단 2조4000억원 규모의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과 자산유동화증권(ABS) 원리금을 상환한 뒤 철도정비창 부지를 돌려받아 사업을 재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111층으로 계획된 랜드마크 빌딩을 80층 이하로 낮추고, 리스크가 큰 상업시설 비중을 줄이는 대신 중소형 아파트를 늘려 사업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하지만 코레일을 제외한 민간 주주사들의 출자금(7500억원) 등 매몰비용 보전 대책이 없다는 게 걸림돌이다.
다른 해법으로는 코레일이 지난달 제안했던 드림허브 자본금 4조원 증자안이 꼽힌다. 코레일이 드림허브로부터 아직 받지 못한 땅값 중 일부인 2조6000억원을 자본금으로 전환하는 대신 민간 출자사가 1조4000억원을 조달하는 방식이다.
이럴 경우 코레일의 드림허브 지분이 기존 25%에서 57%로 늘어나 민간사업에서 공영 개발로 바뀐다.
하지만 랜드마크 시공권(1조4000억원)을 보유한 삼성물산이 이미 단독 증자 불참의지를 밝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날 이사회에서 코레일은 또 설계와 분양 등 사업 실무를 총괄해온 박해춘 회장 등 용산역세권개발(주)의 주요 경영진에 대한 문책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투자자 유치 실패와 부실한 사업계획 때문에 부도에 이르렀다는 판단에서다.
서울시와 코레일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4일 한 언론 인터뷰에서 “시행사 재정문제가 너무 심각하고 투자자간 이견이 커 행정적인 조치는 후순위가 됐다”며 “5~6년간 재산권 행사를 못한 서부이촌동 주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 산하 SH공사는 드림허브 지분 4.9%(490억원)을 보유중이다.
코레일은 용산 개발사업의 좌초에 따른 자본잠식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예산 긴축 운용, 사업 조정 등 비상경영체제에 들어간다. 운용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지출예산 통제를 강화하고 불필요한 사업은 조정하며 신규 사업 추진은 가능한 억제할 방침이다.
김보형/김진수 기자 kph21c@hankyung.com
▶급등주 자동 검색기 등장...열광하는 개미들
▶[한경 스타워즈] 대회 개막 1달만에 7000만원 수익! 비결은?
▶ "이효리 제주도에 신혼집 마련" 알아보니
▶ 女대생, 男선배 앞에서 '애교'떨다 그만
▶ 개그우먼 배연정, '국밥' 팔아 하루 버는 돈이
▶ 이경규 딸, 라면 CF서 '폭풍 미모` 뽐내더니
▶ "야동 못 끊는 남편 어쩌죠" 女교수 대답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