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가동 시기 늦어질 듯
지난 22일 큰불이 난 포스코 포항제철소 파이넥스 1공장의 재가동이 당초 예상보다 늦춰질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 측은 복구가 끝났다고 설명하지만 사고 규모가 알려진 것보다 더 큰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낳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25일 “24일로 파이넥스 1공장의 복구가 모두 끝났기 때문에 고용노동부의 조업 재개 승인만 떨어지면 공장을 다시 가동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실사와 시험 가동 등을 거쳐 승인이 나지만 앞으로 얼마나 걸릴지는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사고 당일, 2~3일 뒤면 재가동할 수 있을 것이란 얘기와는 다르다. 고용부는 산업안전법에 따라 조업을 중단시켰으며 원인 조사와 대책 마련이 끝난 뒤 포스코가 요청하면 심사를 거쳐 가동 재개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고용부 관계자는 “포스코가 아직 조업 중지 해제 요청도 하지 않아 재가동 시기 등을 속단할 수 없다”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과 함께 원인 조사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는 이번 사고가 용융로(금속을 액체로 녹이는 용해로)에 바람을 넣는 구멍 주변에 균열이 생기면서 고열의 원료가 흘러들어가 생긴 단순 화재라고 설명했다. 용융로의 자체 피해는 없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사고 당시의 굉음 등을 감안하면 폭발까지는 아니더라도 용융로에도 손상이 갔을 가능성이 있다는 게 철강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포스코를 관할하는 대구지방고용노동청 포항지청 유한봉 지청장은 “용융로가 깨진 것은 아닌 것 같지만 아직 장담할 수는 없다”며 “이번에 파이넥스 2공장에 대한 안전 조사도 함께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는 파이넥스 공장이 국가보호시설이라는 점을 들어 사고 현장을 공개하지 않아 의구심을 증폭시키고 있다.
서욱진/양병훈 기자 venture@hankyung.com
▶급등주 자동 검색기 등장...열광하는 개미들
▶[한경 스타워즈] 대회 한 달만에 전체 수익 1억원 돌파! 비결은?
▶ 日 재벌 회장 "김연아 '우승' 사실은…"
▶ 이봉원, 손 대는 사업마다 줄줄이 망하더니
▶ 女직장인 "밤만 되면 자꾸 남편을…" 고백
▶ 고영욱, '화학적 거세'는 안심했는데 '덜덜'
▶ "이효리 제주도에 신혼집 마련" 알아보니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