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 통합 못하도록 안전장치 마련하겠다
국가재정 감당 못할땐 지급액 낮추도록 자동조절장치 검토
![](http://www.hankyung.com/photo/201303/2013032525581_2013032594591.jpg)
지난 20일 기초연금 도입을 위한 국민적 합의기구인 국민행복연금위원회의 사령탑을 맡은 김상균 위원장(서울대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은 25일 기자와 만나 이렇게 강조했다. 기초연금은 정부가 내년 7월부터 만 65세 이상 노인들에게 소득과 국민연금 가입 여부에 따라 월 4만~20만원을 주는 제도다. 김 위원장은 “기초연금은 노인세대의 빈곤율을 낮추기 위한 것이고, 국민연금은 현 세대의 노후를 보장하겠다는 각각의 목적이 있다”며 “기초연금에 대한 국민적 합의를 위해서도 국민연금을 훼손하지 않겠다는 분명한 메시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기초연금에 대한 합의가 가능할 것으로 보나.
“복지는 돈이 없어도 할 수 있지만 합의 없이는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스웨덴도 어려운 시기를 거치며 합의문화를 발전시킨 것이 복지 성공요인이다. 우리도 2007년에 여야협상과 사회적 합의를 거쳐 기초노령연금제도를 도입한 경험이 있다. 또 이번에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안을 바로 입법화하지 않고 합의기구를 거치도록 한 것도 사회적 합의 발전 측면에서 큰 진전이라고 본다.”
▷정치권의 합의는 또 다른 문제 같다.
“복지는 어떤 국가에서도 특정 당이 독점하지 않는다. ‘내가 집권하면 다른 사람이 근접할 수 없을 정도로 획기적인 것을 만들겠다’고 덤벼들면 안된다. 독점할 생각 말고 나눌 생각을 해야 한다.”
▷기초연금이 국가 재정에 큰 부담이 될텐데.
“기초연금 자체 내에 자동조절장치를 만드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현재 기초연금 상한액(20만원)은 국민연금 가입자 평균 소득(보수)의 10%라는 기준선에 따라 설정돼있다. 그런데 소득이 늘어나면 상한액도 올라갈 수밖에 없다. 나중에 감당 못할 상황이 올 수도 있다. 또 정치인들이 이 비율을 올리려고 시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재정여건에 따라 기초연금 지급액을 더 높일 수 없도록 국회 등에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본다.”
▷기초연금에 대한 불만도 많다.
“대표적 지표 하나를 가지고 국민을 설득해야 한다. 박정희 대통령 때는 수출이었다. 남대문에 간판을 만들어 수출실적을 막대그래프로 보여줬다. 기초연금의 핵심지표는 노인빈곤율이다. 45%에 이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의 노인빈곤율을 이번 정부 임기 내 반으로 떨어뜨리겠다는 목표로 빈곤층을 집중 지원해야 한다.”
▷부정수급자 문제도 있을 것 같은데.
“기초연금 때문에 빈곤율이 올라가는 역설적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20만원인 기초연금을 받기 위해 재산이나 소득을 일부러 줄이는 사람들이 늘어나면 빈곤율이 높아질 수 있다는 얘기다. 노인소득을 정밀하게 사전에 조사함으로써 이를 막아야 한다. 또 재산과 소득은 차이가 얼마 나지 않는데 어떤 사람은 4만원을 받고 어떤 사람은 20만원을 받는 문제도 손질해야 한다.”
▷기초연금 때문에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도 커지고 있다.
“그래서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통합이라는 정의를 명백히 하겠다. 운영만 통합하고 재정은 영구적으로 통합하지 않는다고 못 박으려고 한다. 그동안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은 정부가 자초한 측면이 있다. 국민연금을 빼내 다른 데 쓰려고 했던 오랜 역사가 있었고, 국민들은 이를 의심하고 있는 것이다. 원천적으로 봉쇄할 장치가 필요하다.”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
김상균 위원장은
▲서울대 사회사업학과 석사(1975년) ▲영국 애버딘대 박사(1982년) ▲자영자소득파악위원회 위원(1999년) ▲국민연금발전위원회 위원(2002년) ▲노사정위원회 위원(2003년) ▲국민연금 운영개선위원회 위원장(2007년)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2011년)
▶급등주 자동 검색기 등장...열광하는 개미들
▶[한경 스타워즈] 대회 한 달만에 전체 수익 1억원 돌파! 비결은?
▶ 日 재벌 회장 "김연아 '우승' 사실은…"
▶ 이봉원, 손 대는 사업마다 줄줄이 망하더니
▶ 女직장인 "밤만 되면 자꾸 남편을…" 고백
▶ 고영욱, '화학적 거세'는 안심했는데 '덜덜'
▶ "이효리 제주도에 신혼집 마련" 알아보니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