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수출 중에서도 가장 복잡하고, 그래서 백미로 꼽히는 게 바로 병원이다. 그만큼 파급효과가 크다. 이번 사우디아라비아 진출도 한국 의료기술의 이전을 통해 로열티를 받고, 수천억원이 소요되는 현지병원 관련시설까지 건립하는 종합 프로젝트다. 선진국에서 병원이 새로운 수출 상품으로 부상하고 있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멀리 갈 것도 없이 당장 일본의 경우만 해도 그렇다. 일본 종합상사들은 해외 의료사업이 경기를 타지 않는 안정적 수익 원천이라며 의료부문 사업 강화에 팔을 걷어붙인 양상이다. 요미우리 보도에 따르면 미쓰이물산은 싱가포르 최대 병원 내에 간장질환 전문 클리닉을 열었고, 도요타통상은 보안업체인 세콤 등과 공동으로 인도에 종합병원을 개설했다. 이토추상사는 재해시 환자이송 및 치료 우선순위 시스템을 개발해 아시아 지역 각 지방자치단체들을 대상으로 판매 중이다.
우리 정부도 병원 수출의 가치를 알고는 있는 모양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어제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병원 등 시스템 수출상품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정작 국내에서는 그런 시스템 상품 개발을 상징하는 투자병원을 설립하고 싶어도 규제에 막혀 못한다. 수년간의 논란 끝에 겨우 경제자유구역에 투자병원을 설립할 수 있도록 한 게 전부다. 그것조차도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 한다. 이런 상황을 방치한 채 정부가 병원 수출 운운하는 건 말이 안 된다. 태국의 투자병원인 붐룽랏 병원은 한 해 의료관광객만 40만명을 끌어들인다. 수익사업 진출도 자유롭다. 태국도 사우디도 하는 걸 한국에선 할 수 없다.
▶급등주 자동 검색기 등장...열광하는 개미들
▶[한경 스타워즈] 대회 한 달만에 전체 수익 1억원 돌파! 비결은?
▶ 日 재벌 회장 "김연아 '우승' 사실은…"
▶ 이봉원, 손 대는 사업마다 줄줄이 망하더니
▶ 女직장인 "밤만 되면 자꾸 남편을…" 고백
▶ 고영욱, '화학적 거세'는 안심했는데 '덜덜'
▶ "이효리 제주도에 신혼집 마련" 알아보니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