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슬 제안 거절하고 재야에
![](http://www.hankyung.com/photo/201303/2013032842051_2013032849201.jpg)
“전하의 국사는 이미 글렀고, 나라의 근본은 이미 망했으며, 하늘의 뜻은 벌써 가버렸고, 인심도 이미 떠났습니다. 마치 큰 나무를 벌레가 백년 동안 속을 갉아먹어서 고액이 이미 말라 버린 채, 멍하니 질풍 폭우에 쓰러질 날만 기다린 지가 오래된 것과 같습니다. 조정에 충성스러운 신하와 근실한 선비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미 형세가 기울어서 지탱할 수 없으며, 사방을 둘러봐도 손을 쓸 수가 없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조식은 국가의 상황에 대해 말한다. 국세가 기울어져 망할 지경이 됐다. 오랫동안 벌레 먹은 고목처럼 겉은 멀쩡하지만, 비바람 한 번이면 단박에 쓰러지고 말 것이다. 충성스러운 신하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미 손쓸 수 없는 지경이 돼 버린 것을 아는 까닭에 더는 움직이지 않는다. 조식은 이렇게 글을 잇는다.
“이런데도 하급 관료는 아래에서 희희낙락하며 주색잡기에 여념 없고 고관대작은 위에서 아무 일도 없다는 듯 오직 뇌물 챙겨 재산만 불리니, 뱃속은 썩어가는데도 약을 쓰기 싫어하는 것입니다. 또 서울에 있는 신하는 궁궐에다 사람을 심어놓고 마치 깊은 못 속의 용처럼 서리서리 얽혀 있고, 지방의 신하들은 백성에게 가렴주구를 해 그 자취가 온 들판에 낭자하니, 가죽이 모두 벗겨지면 털도 붙을 곳이 없다는 것을 모르는 것입니다. 신이 하늘을 우러러 장탄식을 한 것이 하루이틀이 아니며, 잠 못 이루고 천장을 바라보면서 한숨을 억누른 것이 어제오늘이 아니었습니다.”
행정의 주체인 관료의 부패상을 말한다. 하급 관리는 주색에 빠져 있고, 고급 관료는 뇌물에 골몰한다. 병은 깊은데 고칠 생각은 없다.
“자전께서는 사려가 깊으시나 구중궁궐의 한 과부에 지나지 않으며, 전하께서는 어리시니 다만 선왕의 한 고아일 뿐입니다. 백 천 가지 하늘의 재앙과 억만 갈래 백성의 마음을 어떻게 감당하시며 어떻게 수습하시겠습니까. 개천은 마르고 좁쌀비 떨어지니 이 조짐이 무엇이며, 노래 슬프고 흰 옷 입으니 형상 이미 드러났습니다.”
조식은 말한다. 하늘이 내린 재앙은 백성을 보호하지 못한 결과이며, 억만 갈래로 갈라진 민심은 왕의 존재를 무의미하게 만든다고.
당시 왕인 명종과 실권을 쥔 문정왕후를 향한 직설은 정치문제로 비화했지만 결국 기개 있는 재야의 선비가 당대의 권력자인 모후를 향해 불경한 말을 거침없이 한 정도로 양해됐다. 하지만 좀 더 곱씹어 보면 그 말의 함의가 간단치 않다. 백성 없이는 왕도 없다는 조식의 말은 직선적이고 간명하다. 왕과 백성은 공생 관계라는 뜻이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303/2013032842051_2013032849191.jpg)
백성을 수탈의 대상으로만 보고 제 가죽을 벗겨내던 조식 시대의 위정자들과 능력만 있으면 필요에 상관없이 사회의 재화를 독점해도 좋다고 경쟁을 부추기는 지금의 우리가 본질적으로 달라 보이지 않는다. 더구나 조식은 ‘1’의 입장에서 자신들의 문제점을 분명하고도 직선적으로 지적하고 있는 데 반해, 지금의 ‘1’이 과연 그런 공생적 관점을 갖고는 있는지 참으로 궁금할 뿐이다.
서정문 <한국고전번역원 수석연구위원>
▶급등주 자동 검색기 등장...열광하는 개미들
▶[한경 스타워즈] 대회 한 달만에 전체 수익 1억원 돌파! 비결은?
▶ "대마도는 한국땅" 日 뜨끔할 근거 들어보니
▶ 박시후 고소한 A양, 연예인 지망생 이라더니…
▶ MC몽, 안보여서 `자숙`하는줄 알았는데 '깜짝'
▶ 고현정 세들어 산다는 빌라, 전세금이 무려
▶ 日 재벌 회장 "김연아 '우승' 사실은…"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