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공부할 부분은 복수표준어다. 틀리기 쉬운 복수표준어부터, 2011년에 새롭게 추가된 복수표준어까지 차근차근 살펴보자. 이 역시도 억지로 외우려고 하지 말고, 눈으로 자주 보고, 입으로 자주 읽어 표기 자체에 익숙해져야 한다.
(1) 틀리기 쉬운 복수표준어 (아래 제시된 두 표기 모두 표준어로 인정된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303/2013032966881_2013032966281.jpg)
(2) 2011년도에 새롭게 추가된 표준어
![](http://www.hankyung.com/photo/201303/2013032966881_2013032966311.jpg)
③ 현재 표준어와 별도의 표준어로 추가로 인정한 것(단어의 차이를 알고 있어야 정확한 표현을 구사할 수 있지만, 세밀한 차이에 너무 얽매이다보면 오히려 혼란스러울 수 있다. 진하게 표시해놓은 부분만 주의해서 살펴보고, 나머지 부분은 일단 참고만 하자.)
![](http://www.hankyung.com/photo/201303/2013032966881_2013032966271.jpg)
![](http://www.hankyung.com/photo/201303/2013032966881_2013032966301.jpg)
자, 그럼 이제 위에서 배운 것들을 문제로 점검해보자.
(2012학년도 단국대 수시 1차)
1. 다음 중 복수 표준어의 짝이 아닌 것은?
① 소고기 - 쇠고기 ② 우레 - 천둥 ③ 넝쿨 - 덩굴 ④ 아지랑이 - 아지랭이
2. 2011년 10월 현재 표준어 규정에 어긋난 것은?
① 짜장면 ② 택견 ③ 복사뼈 ④ 반디불이
![](http://www.hankyung.com/photo/201303/2013032966881_2013032966391.jpg)
1번과 2번 모두 ④번이 정답이다. ‘아지랭이’는 ‘아지랑이’의 잘못이고, ‘반디불이’는 ‘반디’ 또는 ‘반딧불이’로 써야 한다. 이 단어들의 표기법을 몰랐다하더라도 나머지 단어들만 정확하게 알고 있으면 문제를 풀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틀리기 쉬운 표준어들을 공부하는 것이다. 맞춤법 유형은 이러한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꾸준히 문제를 풀어야 실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단, 여기서는 빈번하게 출제되는 규칙과 단어들 위주로 설명했기 때문에 문제를 풀면서 새로운 규칙이나 단어가 나올 경우 반드시 따로 정리해두자.
진리영 S·논술 선임 연구원 furyfury13@naver.com
▶급등주 자동 검색기 등장...열광하는 개미들
▶[한경 스타워즈] 대회 한 달만에 전체 수익 1억원 돌파! 비결은?
▶ "대마도는 한국땅" 日 뜨끔할 근거 들어보니
▶ 박시후 고소한 A양, 연예인 지망생 이라더니…
▶ MC몽, 안보여서 `자숙`하는줄 알았는데 '깜짝'
▶ 日 재벌 회장 "김연아 '우승' 사실은…"
▶ '짝' 출연 女연예인, 하루에 받는 돈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